아래의 색인을 클릭하면 해당색인에 속하는 정보목록이 나옵니다.
풍차바지
- 색인어 설명
- 큰 사폭에 작은 사폭을 붙이고 마루폭을 대고 밑을 단다. 안도 겉과 같이 모두 붙여서 안과 겉을 맞추어 가장자리를 박고 위로 뒤집는다. 주름은 여자바지와 같은 요령으로 주름을 잡아 허리를 단다.
- 분류 :
통과의례
- 관련서적 : ( 한복교재 / 제주도여성회관 P.62)
- 관련어 : 바지, 어린아이바지, 풍차
표고
- 색인어 설명
- 우리나라에서 예로부터 제1능이, 제2송이, 제3표고라 하여 우수한 식용버섯으로 널리 알려진 버섯이다. 표고에서 추출하여 정제한 Lentinan 이란 물질은 암 또는 종양의 생장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이것을 이용하고 있다.
- 분류 :
자연
- 관련서적 : ( 한라산의 버섯 / 제주도 P.19)
- 관련어 : 버섯, 느타리과, 항암효과
팽나무버섯
- 색인어 설명
- 늦 가을과 이른 봄에 뽕나무,감나무, 아카시아,포플러 등 활엽수림의 고목 또는 그루터기 주위에 총생 또는 소수 군생한다. 비교적 작은 버섯으로 갓표면에 현저한 젤라틴질이 있고, 다발로 발생한다는 점에서 다른 유사종과 구별된다.
- 분류 :
자연
- 관련서적 : ( 한라산의 버섯 / 제주도 P.100)
- 관련어 : 버섯, 송이과, 팽이버섯
풍뎅이
- 색인어 설명
- 풍뎅이는 남바위의 일종으로 제주도의 방언이다. 풍뎅이는 방한용으로 그 가장자리에 나비 5cm가량의 모피를 둘러 붙였는데 부녀자와 노인에 한해서 사용되었으나 조선 때에는 문무관이 모두 사용하였다.
- 분류 :
사회
- 관련서적 : ( 탐라의슬기 / 제주도교육연구원 P.29)
- 관련어 : 남바위, 방한, 모자
파호이호이
- 색인어 설명
- 파호이호이'라는 말은 하와이 원주민의 방언으로서 '매우 잔인한'이란 뜻을 지니고 있으나 Dutton이 1884년 처음으로 사용한 이후 지질학 및 화산학의 학술용어로 쓰여지고 있다. 파호이호이 용암류는 점성이 작아 유동성이 크며, 용암류의 표면이 편평하고 매끄러우며 새끼줄구조등이 발달하는 것이 특징이다.
- 분류 :
문화
- 관련서적 : ( 제주의 민속문화④ 제주의 곶자왈 / 제주특별자치도 / 국립민속박물관 P.11)
- 관련어 : 화산활동, 마그마, 빌레용암
파쇄대
- 색인어 설명
- 지하 깊은곳에 마그마가 상승하거나 분출하기 위해서 지표면과 연결되어 존재하는 층.
- 분류 :
문화
- 관련서적 : ( 제주의 민속문화④ 제주의 곶자왈 / 제주특별자치도 / 국립민속박물관 P.10)
- 관련어 : 화산활동, 마그마, 용암
포신지령
- 색인어 설명
- 포제는 대상신이 '포신지령'인데서 나온 명칭으로 가장 대표적 이며 일반적인 것이다. 어딜가나 포제라면 통한다.
- 분류 :
문화
- 관련서적 : ( 제주의 문화유산 / 한국이동통신제주지사 P.106)
- 관련어 : 마을제, 유교식, 마을축제
풀숲
- 색인어 설명
- 숲은 나무로만 이루어지는 건 아니다. '나무숲'밑으론 다시 '풀숲'이다. 현호색,제비꽃,구슬붕이, 씀바귀 따위의 흔하게 볼 수 있는 풀꽃에서부터 풀솜대, 은대난초,타래난초,천남성등 풀꽃까지 갖가지 색으로 자기를 뽐내고 있다.
- 분류 :
자연
- 관련서적 : ( 제주생태기행/제주시권 / 제주시/제주참여환경연대 P.14)
- 관련어 : 한라산
등산로, 관음사
탐방로, 숲 생태계
풀솜
- 색인어 설명
- 누에고치로 만든 것으로, 시신을 관에 누인 후 목 뒤에 비는 공간을 채워 넣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 현재 다른 사람들은 화장지로 채우기도 한다고 한다.
- 분류 :
문화
- 관련서적 : ( 제주민속조사보고서① 덕수리 / 국립민속박물관 P.127)
- 관련어 : 호상옷, 상례, 누에고치
피난문화
- 색인어 설명
- 6.25사변은 민족에게 동족상잔의 처참한 상황과 엄청난 비극을 몰아왔지만 제주도의 문화예술에는 매우 중요한 한 고비를 마련했다고 할 수 있다. 중앙에서 활동하던 각 분야의 저명한 예술인들이 일시에 제주도로 몰려오게 되었고 그들의 활동 무대가 제주도가 됨으로서 제주도의 예술은 바로 직접적인 자극과 영향으로 급성장 할 수 있었다.
- 분류 :
문화
- 관련서적 : ( 제주문화예술백서 /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제주도지회 P.34)
- 관련어 : 6.25사변, 피난, 예술인
풍수사의 좌향 결정
- 색인어 설명
- 풍수사는 생갑(생년월일시)을 보기도 하지만, 그보다는 대지의 지세를 더 중요시 하여 후벽의 유무와 득수, 득파의 유로상태를 보아 정한다.
- 분류 :
사회
- 관련서적 : ( 제주도연구10 / 제주도연구회 P.108)
- 관련어 : 풍수사, 후벽, 지세
평복차림
- 색인어 설명
- 심방이 일상생활에서 입는 복장 그대로를 말하는 것으로서 일반 민간의 평복과 다른 바 없다. 근래에는 남자 심방은 양복, 여자 심방은 저고리, 치마 차림이 보통이다. 이 복장으로 집행하는 무의에는 소규모의 기원 의례, 큰 굿에서의 추물 공연, 본풀이, 도진 등이 있다.
- 분류 :
무속
- 관련서적 : ( 제주도무속연구 / 현용준 P.413)
- 관련어 : 제주무속, 무복, 도진
평화의섬
- 색인어 설명
- 국제정치적 측면에서 볼 때 지금까지 평화지대(Zone of Peace) 등의 개념이나 구상은 존재해 왔으나 한 국가의 특정 지역을 평화지역으로 설정한 사례는 전무하다. 평화의 섬은 그 공간적 기반을 섬으로 설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특징이 있으나 그 본질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설정되어지고 있는 '평화지대'의 범주에 포함되는 개념이다. 평화지대는 스스로 평화와 안전을 확보하면서 보다 적극적으로는 국제적 차원에서의 평화 및 안전보장체제의 실현에 기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정되어 지고 있는 개념이다.
- 분류 :
관광
- 관련서적 : ( 제주관광학연구 5 / 제주관광학회 P.149)
- 관련어 : 평화지대, 안전보장, 국제정치
펜션의 어원
- 색인어 설명
- Pension'은 원래 빵숑이라고 발음하여 불어에서 기원된 것으로, 일찍이 프랑스 농어촌에서부터 발달하여 유럽 각국으로 보급된 간이숙소영업이다. 펜션은 영어로 연금 퇴직금이라는 뜻이며, 봉급자가 직장생활을 마감하고 연금이나 퇴직금을 활용하여 집을 지어 생활하면서 간이숙소영업을 시작한데서 유래되었다.
- 분류 :
관광
- 관련서적 : ( 제주관광학연구 3 / 제주관광학회 P.20)
- 관련어 : 간이숙소, 연금, 퇴직금
패러글라이딩
- 색인어 설명
- 한라산 산록에서 부는 적당한 바람과 해발 100~200m의 구릉지는 패러글라이딩하기에 적합한 지형조건을 갖추고 있다. 남제주군 영주산은 패러글라이딩의 최적지로 알려져 있다.
- 분류 :
관광
- 관련서적 : ( 웰컴투제주(Welcome to Jeju) / 제주도/제주도관광협회 P.36)
- 관련어 : 스포츠
관광, 레져체험, 영주산
포작
- 색인어 설명
- 포작은 수영하며 물에서 수산물을 채취하는 것을 업으로 한다. 남자는 적고 여자가 많다.
- 분류 :
역사
- 관련서적 : ( 역주탐라지 / 고창석외 P.155)
- 관련어 : 전복, 어업, 부역
포도당공장
- 색인어 설명
- 고구마를 이용하여 포도당을 생산하기 위한 선일포도당공장이 기공식을 가졌다.
- 분류 :
역사
- 관련서적 : ( 서귀포시의 어제와 오늘 / 서귀포시 P.125)
- 관련어 : 서귀포시, 고구마, 포도당
팽이형토기
- 색인어 설명
- 전체 기형이 팽이같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지만, 구연부의 이중구연과 단사선 무늬 또한 이 토기의 속성이고, 전체 기형 못지않게 지역 및 시간적 차이를 잘 반영하고 있다.
- 분류 :
통과의례
- 관련서적 : ( 상모리유적 / 제주도/제주대학교박물관 P.40)
- 관련어 : 팽이, 이중구연, 단사선
팥배나무
- 색인어 설명
- 수피와 잎이 산벚나무와 비슷하다. 5~6월에 하얀색의 자잘한 꽃이 총상꽃 차례로 피며 9~10월에 열매가 붉은색으로 익는데 하얀 꽃이 배꽃을 닮고 열매가 팥과 비슷하다 하여 팥배나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 분류 :
자연
- 관련서적 : ( 노란실잠자리의 1100고지 습지 이야기 / 제주환경운동연합 P.17)
- 관련어 : 산벚나무, 총상꽃, 배꽃
풀놀이
- 색인어 설명
- 진풀(뽀리뱅이)로서 즐기게 되는 놀이 가운데서 특기 하고 싶은 것은 그 풀대의 풀정갱이(풀의 잔동)을 끊었을때 거기에서 생기는 고름(하얀물)을 두고, 서로 자기 것으로 붙여내기 다툼인 것이다.
- 분류 :
민속놀이
- 관련서적 : ( 남국의 민속놀이 / 진성기 P.97)
- 관련어 : 풀정갱이, 진풀, 봄철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