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제주지역 연근해에서 활발히 해양활동을 전개한 주역으로 '전복을 채취하는 남자'라 일컫는 '포작'에 대한 논문으로 포작의 명칭과 성격, 포작인의 출륙과 존재양태, 호적자료를 통해 본 포작의 직역변동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조선시대 제주지역 연근해에서 활발히 해양활동을 전개한 주역으로 '전복을 채취하는 남자'라 일컫는 '포작'에 대한 논문으로 포작의 명칭과 성격, 포작인의 축륙과 존재양태, 호적자료를 통해 본 포작의 직역변동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Ⅰ 머리말 1 Ⅱ 포작의 명칭과 성격 6 1 포작의 명칭 6 2 포작인의 존재와 의미 10 Ⅲ 포작인의 출륙과 존재양태 18 1 포작인 출륙의 사회·경제적 배경 18 2 출률 포작인의 실태 29 3 조선정부의 출륙 포작인에 대한 대책 38 4 포작인의 소멸 시기와 원인 48 Ⅳ 호적자료를 통해 본 포작의 직역변동 53 1 호적자료에 나타난 포작 53 2 호적자료의 지역 및 검토 56 3 가계별 직역변동의 양상 60 1) 고석보(高石寶)의 가계(家系) 2) 김부윤(金夫允)의 가계(家系) 3) 강계봉(姜戒奉)의 가계(家系) 4) 김유창(金有昌)의 가계(家系) 5) 이완귀(李完貴)의 가계(家系) 6) 문성태(文成太)의 가계(家系) Ⅴ 맺음말 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