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방은 무격을 통칭하는 것으로 신의 성방을 의미한다. 여기에는 굿을 하는 심방과 비념을 하는 삼승할망으로 나뉘며 심방은 사제, 의사, 점술사, 연예인 등의 기능이 있다. 삼승할망은 사신에 대한 기원의례를 집행하지만 조산무의 역할이 중심이어서 엄격하게는 심방이라 할 수 없다. 불도맞이굿은 아기 낳기를 기원하는 굿으로 이 굿에서 아이를 점지하고 기르는 역할을 하는 신인 삼승할망 내역을 노래한 서사무가인 삼승할망 본풀이다.
심방은 무격을 통칭하는 것으로 신의 성방을 의미한다. 여기에는 굿을 하는 심방과 비념을 하는 삼승할망으로 나뉘며 심방은 사제, 의사, 점술사, 연예인 등의 기능이 있다. 삼승할망은 사신에 대한 기원의례를 집행하지만 조산무의 역할이 중심이어서 엄격하게는 심방이라 할 수 없다. 불도맞이굿은 아기 낳기를 기원하는 굿으로 이 굿에서 아이를 점지하고 기르는 역할을 하는 신인 삼승할망 내역을 노래한 서사무가인 삼승할망 본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