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상처 입은 참마 잎 | ||
---|---|---|---|
작성일 | 2019-08-27 14:09:07 | 조회 | 717 회 |
작성자 | 산림휴양과 | 연락처 | 064-710-8685 |
참마와 계요등이 서로 얽히면서 자라는데 그 중 참마 잎이 상처를 꽤 많이 입었습니다. 마침 상처가 가장 심한 참마 잎에 곤충 한 마리가 앉아있네요.
머리와 가슴이 붉은빛인 ‘붉은가슴잎벌레’였군요. 붉은가슴잎벌레는 마 혹은 참마 잎에서 쉽게 관찰할 수 있습니다. 성충과 애벌레가 마과(Dioscoreaceae)식물의 잎을 먹거든요.
참마 줄기를 따라 시선을 옮기다보니 이번에는 가장자리 일부가 접힌 잎이 보입니다.
모양을 보아하니 잎을 갉아먹던 존재가 가장자리를 잘라 접어둔 것 같습니다. 필시 그 안에 몸을 숨기고 있겠지요?
살짝 열어보았더니 아니나 다를까 그 안에 애벌레가 몸을 숨기고 있는 것입니다. 다름 아닌 ‘왕자팔랑나비 애벌레’였지요. 왕자팔랑나비 애벌레 또한 마, 참마, 단풍마 등 마과(Dioscoreaceae)식물의 잎을 먹고 자랍니다. 알에서 깨어난 애벌레는 잎 가장자리를 ‘∧’ 모양으로 자르고 포개어 실로 묶은 후 그 안에서 생활하지요. 몸이 커지면서 집의 크기가 점점 커지고 잎을 여러 장 덧대어 만들기도 합니다.
잎이 좀 무성한 부분에서는 하얀 꽃들을 올망졸망 매달고 있는 꽃차례도 보였지요. 그리고 포개진 잎 위에서 다리를 길게 뻗어 움직이지 않는 대벌레도 보입니다. 문득 참마에 기대어 사는 곤충들이 이뿐일까 궁금해집니다.
묘하게도 꽃잎이 벌어진 것 같지도 않은데 꽃향기가 진하게 흘러나와 주위를 감싸 안으니 어스레 그늘진 곳이어도 기분이 좋았습니다. ![]() |
|||
첨부 #1 | 20190827 (7).jpg (234 KBytes) 바로보기 |


No. | 제목 | 첨부 | 작성자 | 작성일 | |
---|---|---|---|---|---|
2385 | 달래꽃 N | 1 | 산림휴양과 | 2021-03-08 | 20 |
2384 | 분홍빛 봄빛 | 1 | 산림휴양과 | 2021-03-05 | 66 |
2383 | 하얀 무늬를 지닌 녹색 잎 사이에서 꽃이 불쑥.. | 1 | 산림휴양과 | 2021-03-04 | 42 |
2382 | 숲 바닥에 밝고 작은 꽃 하나 더 | 1 | 산림휴양과 | 2021-03-03 | 31 |
2381 | 연못가, 겨울옷 벗는 제주산버들 | 1 | 산림휴양과 | 2021-03-02 | 34 |
2380 | 아그배나무로 모여든 작은 새들 | 1 | 산림휴양과 | 2021-02-26 | 56 |
2379 | 바람에 찰랑거리는 꽃차례 | 1 | 산림휴양과 | 2021-02-25 | 51 |
2378 | 다채로운 빛깔의 꿩 | 1 | 산림휴양과 | 2021-02-24 | 38 |
2377 | 세복수초 곁에서 쫑긋 솟아 나온 | 1 | 산림휴양과 | 2021-02-23 | 45 |
2376 | 낙엽 사이로 새로이 펼쳐지는 식물들 | 1 | 산림휴양과 | 2021-02-22 | 42 |
2375 | 억새 줄기에 매달리는 새들 | 1 | 산림휴양과 | 2021-02-19 | 65 |
2374 | 새가 쉬었던 동백나무 밑 | 1 | 산림휴양과 | 2021-02-18 | 51 |
2373 | 꽃 위에 다시 눈이 쌓이고 | 1 | 산림휴양과 | 2021-02-17 | 47 |
2372 | 부리 모양이 특이한 새 | 1 | 산림휴양과 | 2021-02-16 | 69 |
2371 | 변산바람꽃 낙엽 위로 흐드러짐 | 1 | 산림휴양과 | 2021-02-15 | 50 |
- 담당부서
- 환경보전국 산림휴양과
- 담당자
- 고유경
- 연락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