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겨울을 넘기고 드디어 날개를 편 줄박각시 | ||
---|---|---|---|
작성일 | 2020-06-04 11:09:56 | 조회 | 224 회 |
작성자 | 산림휴양과 | 연락처 | 064-710-8685 |
산수국에 매달린 ‘줄박각시’가 곱습니다. 참으로 날렵하게 생겼지요? 전투기를 연상케 합니다.
줄박각시 성충은 5월에서 9월에 걸쳐 나타납니다. 날개를 편 길이가 약 65mm정도 됩니다. 앞날개 끝에서 후연을 향해 6개의 선이 그어져 있고 가장 굵은 첫 번째 가로맥 위쪽에는 흑색 점이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황갈색을 띠지만 배 측면에서 금색으로 반짝이는 선이 인상적이지요. 이 성충은 며칠 전 번데기에서 날개돋이를 하였습니다.
지난해 9월에 개머루 잎을 갉아먹는 줄박각시 애벌레를 만났었지요.
애벌레는 6월과 8월에 나타나는데 주로 담쟁이덩굴, 개머루 등 포도과(Vitaceae) 식물의 잎을 갉아먹습니다. 먹성이 좋아 잎자루만 남기고 잎을 깔끔하게 먹어치우지요.
애벌레는 갈색형과 녹색형이 있습니다. 특이하게도 애벌레의 배에는 눈알 무늬가 3-5개 있는데, 자극을 받으면 머리를 가슴 쪽으로 움츠리고 가슴을 부풀려 눈알 무늬가 도드라지게 합니다.
10월 중순경 애벌레는 번데기가 되었지요. 애벌레는 낙엽 아래 흙을 얕게 파고 들어가 번데기가 되었습니다.
여름에 애벌레를 만났더라면 약 15일 만에 날개돋이를 한 성충을 보았을 텐데, 가을에 만난 애벌레는 해를 넘기고 6월이 되어서야 성충이 되었네요. 추운 계절 견뎌내고 무사히 날개를 편 줄박각시가 대견합니다. ![]() |
|||
첨부 #1 | 20200604 (7).jpg (184 KBytes) 바로보기 |


No. | 제목 | 첨부 | 작성자 | 작성일 | |
---|---|---|---|---|---|
2275 | 빨갛게 익어가는 길쭉한 열매 | 1 | 산림휴양과 | 2020-08-27 | 226 |
2274 | 단풍마 꽃차례가 찰랑찰랑 | 1 | 산림휴양과 | 2020-08-26 | 219 |
2273 | 짙은 하늘빛으로 익어가는 열매 | 1 | 산림휴양과 | 2020-08-25 | 160 |
2272 | 비수리 줄기에 매달렸던 나비번데기 | 1 | 산림휴양과 | 2020-08-24 | 179 |
2271 | 빨간 난초 열매 | 1 | 산림휴양과 | 2020-08-21 | 181 |
2270 | 제주상사화 꽃물결 | 1 | 산림휴양과 | 2020-08-20 | 203 |
2269 | 털부처꽃 곱게 핀 연못 | 1 | 산림휴양과 | 2020-08-19 | 246 |
2268 | 파란 하늘아래 새하얀 꽃 그리고 | 1 | 산림휴양과 | 2020-08-18 | 181 |
2267 | 남오미자 꽃봉오리 | 1 | 산림휴양과 | 2020-08-14 | 144 |
2266 | 쪽동백나무 열매에 매달린 곤충 | 1 | 산림휴양과 | 2020-08-12 | 135 |
2265 | 마꽃이 피었는데 | 1 | 산림휴양과 | 2020-08-11 | 139 |
2264 | 나선형으로 꼬인 꽃차례 | 1 | 산림휴양과 | 2020-08-10 | 133 |
2263 | 솔비나무 꽃이 활짝 | 1 | 산림휴양과 | 2020-08-07 | 178 |
2262 | 인동덩굴 줄기에 매달린 | 1 | 산림휴양과 | 2020-08-06 | 283 |
2261 | 어여쁜 박주가리 꽃 | 1 | 산림휴양과 | 2020-08-05 | 188 |
- 담당부서
- 환경보전국 산림휴양과
- 담당자
- 고유경
- 연락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