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 오기 전에는
- - TV나 라디오를 수신하여 태풍의 진로와 도달시간을 숙지합시다.
- - 가정의 하수구나 집주변의 배수구를 점검하고 막힌 곳을 뚫어야 합니다.
- - 침수나 산사태가 일어날 위험이 있는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은 대피장소와 비상연락방법을 미리 알아둡시다.
- - 하천 근처에 주차된 자동차는 안전한 곳으로 이동합시다.
- - 응급 약품, 손전등, 식수, 비상식량 등의 생필품은 미리 준비합시다.
- - 날아갈 위험이 있는 지붕, 간판, 창문, 출입문 또는 마당이나 외부에 있는 헌 가구, 놀이기구, 자전거 등 바람에 날릴 수 있는 것 등을 단단히 고정합시다.
- - 공사장 근처는 위험하오니 가까이 가지 맙시다.
- - 전신주, 가로등, 신호등을 손으로 만지거나 가까이 가지 맙시다.
- - 감전의 위험이 있으니 집 안팎의 전기수리는 하지 맙시다.
- - 운전 중일 경우 감속운행 합시다.
- - 천둥·번개가 칠 경우 건물 안이나 낮은 곳으로 대피합시다.
- - 송전철탑이 넘어졌을 때는 119나 시·군·구청 또는 한전에 즉시 연락합시다.
- - 고층아파트 등 대형·고층건물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유리창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젖은 신문지, 테이프 등을 창문에 붙이고 창문 가까이 접근하지 맙시다.
- - 노약자나 어린이는 집 밖으로 나가지 맙시다.
- - 물에 잠긴 도로로 걸어가거나 차량을 운행하지 맙시다.
- - 대피할 때에는 수도와 가스 밸브를 잠그고 전기차단기를 내려둡시다.
- ※ 태풍이란?
- 태풍은 북태평양 남서해상에서 발생하는 열대성 저기압 중에서 중심 최대풍속이 1초당 17m 이상의 폭풍우를 동반하고 있는 기상현상을 말합니다.
태풍 주의보 때는
-
도시지역에서는
- - 저지대ㆍ상습침수지역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대피를 준비합시다.
- - 공사장 근처는 위험하오니 가까이 가지 맙시다.
- - 전신주, 가로등, 신호등을 손으로 만지거나 가까이 가지 맙시다.
- - 감전의 위험이 있으니 집 안팎의 전기수리는 하지 맙시다.
- - 운전 중일 경우 감속운행 합시다.
- - 천둥ㆍ번개가 칠 경우 건물 안이나 낮은 곳으로 대피합시다.
- - 간판, 창문 등 날아갈 위험이 있는 물건은 단단히 고정합시다.
- - 송전철탑이 넘어졌을 때는 119나 시·군·구청 또는 한전에 즉시 연락합시다.
- - 집안의 창문이나 출입문을 잠가 둡시다.
- - 노약자나 어린이는 집 밖으로 나가지 맙시다.
- - 대피할 때에는 수도, 가스, 전기는 반드시 차단합시다.
- - 라디오, TV, 인터넷을 통해 기상예보 및 태풍상황을 잘 알아 둡시다.
-
농촌지역에서는
- - 저지대ㆍ상습침수지역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대피를 준비합시다.
- - 공사장 근처는 위험하오니 가까이 가지 맙시다.
- - 감전위험이 있으니 고압전선 근처에 가지 맙시다.
- - 집 안팎의 전기수리를 하지 맙시다.
- - 천둥·번개가 칠 경우 건물 안이나 낮은 곳으로 대피합시다.
- - 바람에 지붕이 날아가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하고 바람에 날아갈 수 있는 물건을 단단히 묶어 둡시다.
- - 송전철탑이 넘어졌을 때는 119나 시·군·구청 또는 한전에 즉시 연락합시다.
- - 집안의 창문이나 출입문을 잠가 둡시다.
- - 노약자나 어린이는 집 밖으로 나가지 맙시다.
- - 라디오, TV, 인터넷을 통해 기상예보 및 태풍상황을 잘 알아 둡시다.
- - 집주변이나 경작지의 용·배수로를 점검합시다.
- - 산간계곡의 야영객은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시다.
- - 비닐하우스 등의 농업시설물을 점검합시다.
-
해안지역에서는
- - 저지대·상습침수지역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대피를 준비합시다.
- - 침수가 예상되는 건물의 지하공간에는 주차를 하지 마시고, 지하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대피합시다.
- - 전신주, 가로등, 신호등을 손으로 만지거나 가까이 가지 맙시다.
- - 집 안팎의 전기수리를 하지 맙시다.
- - 공사장 근처는 위험하오니 가까이 가지 맙시다.
- - 해안도로를 운전하지 맙시다.
- - 천둥·번개가 칠 경우 건물 안이나 낮은 곳으로 대피합시다.
- - 간판, 창문 등 날아갈 위험이 있는 물건은 단단히 고정합시다.
- - 송전철탑이 넘어졌을 때는 119나 시·군·구청 또는 한전에 즉시 연락합시다.
- - 집안의 창문이나 출입문을 잠가 둡시다.
- - 노약자나 어린이는 집 밖으로 나가지 맙시다.
- - 라디오, TV, 인터넷을 통해 기상예보 및 태풍상황을 잘 알아 둡시다.
- - 바닷가 근처나 저지대에 계신 주민은 대피 준비를 합시다.
- - 어업활동을 하지 마시고 선박을 단단히 묶어 둡시다.
- - 어로시설을 철거하거나 고정합시다.
- - 해수욕장 이용은 하지 맙시다.
-
태풍경보 때는
-
도시지역에서는
- - 침수가 예상되는 건물의 지하공간에는 주차를 하지 마시고, 지하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과 붕괴 우려가 있는 노후주택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시다.
- - 건물의 간판 및 위험시설물 주변으로 걸어가거나 접근하지 맙시다.
- - 고층아파트 등 대형·고층건물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유리창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젖은 신문지, 테이프 등을 창문에 붙이고 창문 가까이 접근하지 맙시다.
- - 집 안팎의 전기수리를 하지 맙시다.
- - 모래주머니 등을 이용하여 물이 넘쳐서 흐르는 것을 막읍시다.
- - 바람에 날아갈 물건이 집주변에 있다면 미리 제거합시다.
- - 도로에 있는 차량은 속도를 줄여서 운전합시다.
- - 아파트 등 고층건물 옥상, 지하실과 하수도 맨홀에 접근하지 맙시다.
- - 정전 때 사용 가능한 손전등을 준비하시고 가족 간의 비상연락방법과 대피방법을 미리 의논합시다.
-
농촌지역에서는
- - 주택주변의 산사태 위험이 있으면 미리 대피합시다.
- - 모래주머니 등을 이용하여 하천물이 넘쳐서 흐르지 않도록 하여 농경지 침수를 예방합시다.
- - 위험한 물건이 집주변에 있다면 미리 제거합시다.
- - 논둑을 미리 점검하시고 물꼬를 조정합시다.
- - 교량은 안전한지 확인한 후에 이용합시다.
- - 산사태가 일어날 수 있는 비탈면 근처에 접근하지 맙시다.
- - 이웃이나 가족 간의 연락방법과 비상시 대피방법을 확인합시다.
- - 농기계나 가축 등을 안전한 장소로 옮깁시다.
- - 비닐하우스, 인삼재배시설 등을 단단히 묶어 둡시다.
- ※ 산사태 징후가 있는 때는
- 장마철에는 어느 때 보다도 산사태 발생 위험이 높습니다. 따라서 주변에서 다음과 같은 산사태 발생 징후가 보이면 빨리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시기 바랍니다.
-
- ◎ 경사면에서 갑자기 많은 양의 물이 샘솟을 때
- - 이때는 땅속에 과포화 된 지하수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므로 산사태의 위험이 커진다.
- ◎ 평소 잘 나오던 샘물이나 지하수가 갑자기 멈출 때
- - 이때는 산위의 지하수가 통과하는 토양층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나타내므로 위험이 많다고 볼 수 있다.
- ◎ 갑자기 산허리의 일부가 금이 가거나 내려앉을 때
- - 이는 산사태가 발생하는 조짐이므로 미리 대피하는 것이 좋다.
- ◎ 바람이 불지 않는데도 나무가 흔들리거나 넘어지는 때, 산울림이나 땅울림이 들릴 때
- - 산사태가 이미 시작된 것으로 즉시 대피하고 행정기관에 신고
-
해안지역에서는
- - 해안가의 위험한 비탈면에 접근하지 맙시다.
- - 집 근처에 위험한 물건이 있다면 미리 치웁시다.
- - 바닷가의 저지대 주민은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시다.
- - 교량은 안전한지 확인 후에 이용합시다.
- - 선박을 단단히 묶어두시고 어망·어구 등을 안전한 곳으로 옮깁시다.
- - 가족 간의 연락방법이나 대피방법을 미리 확인합시다.
태풍이 지나간 후에는
- - 파손된 상하수도나 도로가 있다면 시·군·구청이나 읍·면·동사무소에 연락합시다.
- - 비상 식수가 떨어졌더라도 아무 물을 먹지 마시시고 물은 꼭 끓여 드십시오.
- - 침수된 집안은 가스가 차 있을 수 있으니 환기시킨 후 들어가시고 전기, 가스, 수도시설은 손대지 마시고 전문 업체에 연락하여 사용합시다.
- - 사유시설 등에 대한 보수·복구 시에는 반드시 사진을 찍어 두십시오.
- - 제방이 붕괴될 수 있으니 제방 근처에 가지 마시고, 감전의 위험이 있으니 바닥에 떨어진 전선 근처에 가지 맙시다.
강품 예보 때는
- - 문·창문을 닫고 집 안에서 머무릅시다.
- - 유리 파손 때문에 생긴 피해를 줄이도록 젖은 신문지, 테이프 등을 붙입시다.
- - 해안지역에서는 바닷가로 가지 맙시다.
- - 라디오나 TV의 기상정보를 주의 깊게 들읍시다.
- - 날아갈 수 있는 모든 물건들을 안으로 들여놓으세요.
- - 날아갈 위험이 있는 지붕, 간판 등은 단단히 고정합시다.
- - 비닐하우스는 방풍벽이나 그물을 이용한 파풍망을 설치합시다.
- - 비닐하우스는 서까래 사이에 나선형 말목을 박아 고정밴드로 고정합시다.
- - 바람이 강하게 불 때에는 비닐하우스를 밀폐시킨 다음 환풍기를 가동합시다.
- - 비닐이 찢어진 부분은 빨리 보수하여 바람 피해를 예방합시다.
강풍 몰아칠(주의보/경보) 때는
- 집에 있는 경우에는 현관, 복도 또는 창문의 유리파편으로부터 보호 가능한 곳에 있으세요.
육상과 산간에서, 강풍주의보와 경보가 발령되는 보통풍속과 순간풍속 기준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구 분 |
육 상 |
산 간 |
보통(풍속) |
순간풍속 |
보통(풍속) |
순간풍속 |
주의보 |
14m/s이상 |
20m/s이상 |
17m/s이상 |
25m/s이상 |
경 보 |
21m/s이상 |
26m/s이상 |
24m/s이상 |
30m/s이상 |
- - 지붕 위나 바깥에서 작업을 하지 맙시다.
- - 나무 밑으로 피하지 맙시다.
- - 바닷가 근처로 가지 맙시다.
- - 강풍이 지나간 후 땅바닥에 떨어진 전깃줄에 접근하거나 만지지 맙시다.
- - 외출을 삼가고 자동차를 타고 갈 때는 속도를 줄입시다.
- - 위험시설물 주변으로 걸어가거나 접근하지 맙시다.
-
강풍이 지나간 후에는
- - 가스, 수도, 전기 등 공급 관을 조사하고, 작동 여부를 확인 합시다.
- - 시군구, 읍면동 등 관청에서 내리는 지시에 따르시기 바랍니다.
- - 자신의 집 피해가 크더라도 절대 흥분하지 말고 침착하게 처리합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