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 상하수도분야 경영개선을 위해 주기적으로 요금을 인상하고 있지만 요금 현실화율은 오히려 하락하고 있어 도민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라도 유수율 향상 등 실질적인 상수도 원가절감 방안을 마련할 것. |
|
2 |
○ 하수처리장 증설 시 주민과의 대화가 중요함. 봉개, 동복자원센터에서는 주민과의 협약으로 지역제한 등을 통하여 지역인력(공무직)을 채용하여 행정과 가교역할을 하고 있는 실정으로 하수처리장 증설과 관련해서도 지역주민이 요구하고 있는 지역인력(공무직) 채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인사부서 등에서 대책을 마련할 것. |
|
3 |
○ 강우시 하수처리시설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바다나 하천으로 하수를 방류하게 되는데 도내 중계펌프장에 월류수 저감시설이 3개 밖에 되지 않아 월류슈 저감시설 확충을 위한 예산확보 방안 등을 마련할 것. |
|
4 |
○ 드림타워 건축허가 후 지금까지 하수처리에 대한 준비가 전혀 되어 있지 않아 향후 이와 같은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대규모 개발사업 등에 대한 상하수도 대책 마련이 필요하며, 드림타워 하수에 대한 구체적 처리방안을 조속히 마련할 것. |
|
5 |
○ 상수도 유수율 제고사업 관련하여 진척이 안 되어 블록화 구축사업 등이 속도를 낼 수 있도록 활성화 방안을 마련해야 하며, 유수율제고사업에 따른 효과검증 실시할 것 |
|
6 |
○ 하수처리 등의 지하수 오염 방지를 위해 도시계획 조례 등이 강화되고 있어 하수관거 공사 시 지역 주민들에게 향후 계획 등을 상세히 설명하여 대처해 나갈 수 있도록 방안을 마련할 것 |
|
7 |
○ 도두현대화사업 추진 시에는 위탁하여 처리하는 하수슬러지를 자체처리 할 수 있도록 에너지화 방안 등 다각적인 처리방안을 강구할 것 |
|
8 |
○ 중수도 시설 의무대상에 대하서는 물 사용량의 10퍼센트 이상을 재이용할 수 있도록 지도 감독을 강화할 것 |
|
9 |
○ 우오수 분류식 하수관거 사업이 완료되었으나, 아직까지 남아있는 하수관거 미설치 가구에 대한 대책을 마련할 것 |
|
10 |
○ 제주개발공사 제1공장 폐수처리와 관련하여 공공하수처리시설과 조속히 연계처리 될 수 있도록 펌프장 이송방안을 마련할 것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