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 | 항 목 | 기 준 | 오 염 물 질 특 성 | |
---|---|---|---|---|
노 출 경 로 | 위 해 성 | |||
미생물 | 일반세균 | 100CFU/㎖이하 | 자연생태계 | 일반적으로 무해한 잡균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병원균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음 |
총대장균군 | 불검출/100㎖ | 자연생태계에 존재하며 인간 또는 동물의 장관에서 배출 |
일반적으로 무해한 잡균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병원균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음 | |
분원성 대장균군/ 대장균 | 불검출/100㎖ | 사람이나 동물들의 배설물에서 배출 | 설사, 경련, 구역질, 두통 또는 기타증상 등 단기간의 영향을 줄 수 있음. 면역체계가 약한 사람에게는 특별한 위험을 야기할 수 있음 |
|
바이러스/ 원생동물 |
99.99% (TT) 99.9% (TT) |
사람이나 동물들의 배설물에서 배출 | 부적절히 처리된 물은 질병을 야기하는 병원균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역질, 설사, 경련 등 이상증세를 나타낼 수 있음 . | |
건강상유해영향무기물질 | 납 | 0.05㎎/ℓ이하 | 인쇄·도금공장폐수 급배수관에 존재 |
기준을 초과한 물을 마시는 일부사람들은 신체적 정신적 장애를 경험할 수 있으며, 아동들은 주의집중이 다소 부진하고, 만성중독시 성인의 경우 신장이나 고혈압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음 |
불소 | 1.5㎎/ℓ이하 | 자연상태의 토양, 암석에 존재 |
기준초과된 물을 마실 경우 9세이하의 아동들에게 반상치를 유발할 수 있으며, 특히 수년동안 4㎎/ℓ이상 마신 사람의 일부가 뼈질환을 일으킬 수 있음 | |
비소 | 0.05㎎/ℓ이하 | 농약 살충제 등에서 환경중으로 배출 | 수년동안 기준초과된 물을 마시는 사람의 일부가 피부손상이나 순환기 계통에 문제를 경험할 수 있으며 암의 위험증가를 야기할 수 있음 | |
건강상유해영향무기물질 | 셀레늄 | 0.01㎎/ℓ이하 | 필수 영양소이며, 금속제련소의 공장폐수에 존재 | 수년동안 기준초과된 물을 마시는 일부 사람들은 머리카락 또는 손톱이 빠짐, 손가락이나 발톱의 마비 또는 순환기의 문제를 경험할 수 있음 |
수은 | 0.001㎎/ℓ이하 | 수은제조공장, 병원, 수은광산 등에서 환경으로 배출 | 수년동안 기준초과된 물을 마시는 사람의 일부는 신장손상을 경험할 수 있음 | |
시안 | 0.01㎎/ℓ이하 | 자연수에는 존재하지 않으며, 광업 및 산업폐수로부터 오염 | 수년동안 기준초과된 물을 마시는 사람의 일부가 뇌손상이나 갑상선에 문제를 경험할 수 있음 | |
크롬 | 0.05㎎/ℓ이하 | 천연에서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특수강 분야에 주로 이용 | 수년동안 기준초과된 물을 마시는 사람의 일부가 피부 알러지 등을 경험할 수 있음 | |
암모니아성질소 | 0.5㎎/ℓ이하 | 분뇨 또는 하수 등에 의한 오염을 의미 | 암모니아성질소 자체로는 무해하나 질산성질소로 변할 경우 청색증 유발가능(분뇨성분 및 대장균의 수질오염을 측정하는 지표) | |
질산성질소 | 10㎎/ℓ이하 | 무기비료 사용, 부패한 동식물, 생활하수, 공장폐수에서 발생 | 기준을 초과한 물을 마시는 6개월 미만의 유아들은 유아청백증을 일으킬 수 있으며, 치료하여야 함 | |
카드뮴 | 0.005㎎/ℓ이하 | 도금, 충전식 건전지, TV브라운관 등에서 환경으로 배출 | 수년동안 기준을 초과한 물을 마시는 일부 사람들이 신장손상을 경험할 수 있음 | |
보론 | 0.3㎎/ℓ이하 | 폐수내 중금속 조절제로 사용 | 수년동안 기준을 초과한 물을 마시는 일부 사람들이 소화기등에 영향을 경험할 수 있음 | |
건강상유해영향유기물질 | 페놀 | 0.005㎎/ℓ이하 | 천연수에는 존재하지 않으며, 약품합성공업, 아스팔트포장도로 등에서 환경으로 배출 | 기준을 초과할 경우 이·취미가 발생되며 일부 사람들이 식욕부진이 나타날 수 있음 |
다이아지논 | 0.02㎎/ℓ이하 | 벼농사의 살충제 농약으로 사용되어 환경으로 배출 | 수년동안 기준을 초과한 물을 마시는 일부 사람들이 중추신경계장애를 경험할 수 있음 | |
파라티온 | 0.06㎎/ℓ이하 | 농작물 살충제로 환경에 배출 | 수년동안 기준을 초과한 물을 마시는 일부 사람들이 중추신경계장애를 경험할 수 있음 | |
페니트로티온 | 0.04㎎/ℓ이하 | 농작물의 살충제로 사용후 환경으로 배출 | 수년동안 기준을 초과한 물을 마시는 일부 사람들이 중추신경계장애를 경험할 수 있음 | |
카바릴 | 0.07㎎/ℓ이하 | 농작물에서 살충제로 사용후 환경으로 배출 | 수년간 기준을 초과한 물을 마시는 일부 사람이 설사 및 위경련을 경험할 수 있음 | |
1,1,1-트리 클로로에탄 |
0.1㎎/ℓ이하 | 유기염소화합물 생산시 중간 생성물질로서 산업폐수로 발생 | 수년동안 기준을 초과한 물을 마시는 일부 사람들은 간, 신경계 또는 순환계의 문제를 경험할 수 있음 | |
테트라클로로에틸렌 | 0.01㎎/ℓ이하 | 유해화학물질로서 무색의 액체이며 금속세정제로 이용후 환경으로 배출 | 수년간 기준을 초과한 물을 마시는 일부 사람들이 간의 문제를 경험할 수 있음 | |
트리클로로 에틸렌 |
0.03㎎/ℓ이하 | 금속세정제, 드라이크리닝 용제, 소화제 등으로 이용후 환경으로 배출 | 수년간 기준을 초과한 물을 마시는 일부 사람들이 간의 문제를 경험할 수 있음 | |
디클로로메탄 | 0.02㎎/ℓ이하 | 산업폐수에서 발생 | 수년간 기준을 초과한 물을 마시는 일부 사람들이 간의 문제를 경험할 수 있음 | |
벤젠 | 0.01㎎/ℓ이하 | 염료 도료, 농약, 세척제, 합성세제 등의 유기용제로 이용후 환경으로 배출 | 수년간 기준을 초과한 물을 마시는 일부 사람이 빈혈이나 혈소판 증가를 경험할 수 있음 | |
톨루엔 | 0.7㎎/ℓ이하 | 석유화학제품으로서 염료, 향료, 합성섬유 등에 주로 사용후 환경으로 배출 | 수년동안 기준 초과된 물을 마시는 일부 사람들은 신경계, 신장 또는 간의 문제를 경험할 수 있음 | |
건강상유해영향유기물질 | 에틸벤젠 | 0.3㎎/ℓ이하 | 유해화학물질로서 물에 잘 녹지 않으며, 산업폐수에서 발생 | 수년동안 기준 초과된 물을 마시는 일부 사람이 현기증 및 피부자극을 경험할 수 있음 |
크실렌 | 0.5㎎/ℓ이하 | 유해화학물질로서 알콜 등에 잘 녹으며, 물에 잘 녹지 않음 | 수년동안 기준 초과된 물을 마시는 일부 사람이 신경계의 손상을 경험할 수 있음 | |
1,1-디클로로에틸렌 | 0.03㎎/ℓ이하 | 합성화학 중간 물질로서 주용도는 세척제, 접착제 등에 이용후 환경으로 배출 | 수년간 기준을 초과한 물을 마시는 일부 사람들이 간의 문제를 경험할 수 있음 | |
사염화탄소 | 0.002㎎/ℓ이하 | 냉각제, 세척제, 금속제련 용제로 이용후 환경으로 배출 | 수년간 기준을 초과한 물을 마시는 일부 사람들이 간의 문제를 경험할 수 있음 | |
1,2-디브로모-3- 클로로프로판 |
0.003㎎/ℓ이하 | 콩 재배시 등 토양 훈증 소독제로 이용후 환경으로 배출 | 수년동안 기준을 초과한 물을 마시는 일부 사람들이 위, 신장, 간장 등의 장애를 경험할 수 있음 | |
소독제및소독부산물질 | 유리잔류염소 총트리할로메탄 클로로포름 |
4.0㎎/ℓ이하 0.1㎎/ℓ이하 0.08㎎/ℓ이하 |
원수중의 유기물과 정수처리시 소독제로 사용하는 염소와 반응하여 생성 | 수년동안 기준을 초과한 물을 마시는 일부 사람의 경우 암이 유발될 가능성이 있음 |
클로랄하이드레이트 | 0.03㎎/ℓ이하 | 산업폐수의 유입 또는 수돗물의 염소처리 과정중 생성 | 수년동안 기준을 초과한 물을 마시는 일부 사람들이 학습능력 장애를 경험할 수 있음 | |
디브로모 아세토니트릴 | 0.1㎎/ℓ이하 | 수돗물의 염소처리 과정 중 유기물질과 반응하여 생성 | 수년동안 기준을 초과한 물을 마시는 일부 사람들이 호흡기관 장애를 경험할 수 있음 | |
디클로로 아세토니트릴 | 0.09㎎/ℓ이하 | 수돗물의 염소처리 과정 중 유기물질과 반응하여 생성 | 수년동안 기준을 초과한 물을 마시는 일부 사람들이 호흡기관 장애를 경험할 수 있음 | |
트리클로로 아세토니트릴 | 0.004㎎/ℓ이하 | 수돗물의 염소처리 과정 중 유기물질과 반응하여 생성 | 수년동안 기준을 초과한 물을 마시는 일부 사람들이 소화기, 비뇨기계 문제를 경험할 수 있음 | |
할로아세틱 에시드 | 0.1㎎/ℓ이하 | 수돗물의 염소처리 과정 중 유기물질과 반응하여 생성 | 수년동안 기준을 초과한 물을 마시는 일부 사람들이 간종양과 신경계통의 문제를 경험할 수 있음 | |
심미적영향물질 | 경도 | 300㎎/ℓ이하 | 자연원천의 퇴적층 암석 침출수 등에서 배출됨 | 인체에 유해하다는 확실한 근거는 없음 |
과망간산칼륨소비량 | 10㎎/ℓ이하 | 수중의 유기물의 산화에 의해 소비되는 양으로 오염물질을 총체적으로 짐작할 수 있음 | 수돗물의 착색, 이·취미등에 관계가 있으나 인체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음 | |
냄새 | 무취 (소독 냄새 제외) |
냄새는 순수한 물에 유기물 등 이물질의 유입을 의미 | 인체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음 | |
맛 | 무미 (소독 맛 제외) |
맛은 순수한 물에 무기물 등 이물질의 유입을 의미 | 인체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음 | |
동 | 1㎎/ℓ이하 | 자연 상태에서 광석으로 존재하며, 전선, 건축자재 등으로 사용 후 환경으로 배출 | 수년간 기준을 초과한 물을 마시는 일부 사람이 위장통증을 경험할 수 있음 | |
색도 | 5도 이하 | 음용수의 색도는 착색유기물질과 철, 망간과 같은 금속이온 존재에 기인 | 인체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음 | |
세제 | 0.5㎎/ℓ이하 | 세제로서 물에 용해되어 세정, 유화 등의 작용 후 환경으로 배출 | 인체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으나 일부 사람의 경우 피부장애를 경험할 수 있음 | |
수소이온농도 (pH) |
5.8~8.5 | 물의 산성, 알칼리성 판단기준(7.0이 중성 낮으면 산성, 높으면 알칼리성) | 사람의 건강과 pH와의 직접적인 관계는 확인되지 않았음. 다만 높은 pH에 노출시 일부사람이 눈, 피부 등 자극을 경험할 수 있음 | |
심 미 적 영 향 물 질 | 아연 | 1㎎/ℓ이하 | 자연상태의 광석에서 존재하며, 공장 및 광산 폐수에서 환경으로 배출됨 | 기준초과한 물은 불쾌한 맛을 유발하나 만성중독은 일으키지 않음. 다만, 일부사람이 설사 등을 경험할 수 있음 |
염소이온 | 250㎎/ℓ이하 | 염소화합물의 용해로 검출되며, 자연수에 항상 함유되어 있음 | 위해성에 대한 직접적인 연관은 확인되지 않음. 분뇨, 가정하수, 해수의 혼입 등에 따라 함유량이 높아지며 수질오염의 정도를 나타냄 | |
증발잔류물 | 500㎎/ℓ이하 | 상수원수의 지질학적 영향에 따라 달라진다. |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음 물을 증발시켰을 때 잔류하는 물질로서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등이 있음 |
|
철 | 0.3㎎/ℓ이하 | 토양, 암석, 광물에 존재하며, 인체에서 산소운반, 산화작용 등에 필수 물질 | 수년동안 기준을 초과한 물을 마시는 일부사람이 혈색증을 경험할 수 있음. 물에 다량 존재하면 착색(적수)이나, 금속 맛을 내는 원인 | |
망간 | 0.3㎎/ℓ이하 | 자연수에서 철과 함께 공존, 미량으로도 물에 색(흑수)을 유발 | 수년동안 기준을 초과한 물을 마시는 일부사람이 신경장애 및 언어장애를 경험할 수 있음 | |
탁도 | 0.5NTU이하 | 물의 탁한 정도를 나타내며 물속의 부유물질과 관련하여 수질오염을 나타내는 지표 | 건강상 직접적인 영향은 없음. 다만 소독장애를 일으켜 질병유발 세균이 포함될 가능성이 있음 | |
황산이온 | 200㎎/ℓ이하 | 자연수중에서 황산이온 검출은 유황 함유 또는 유기물질 등의 공장폐수 유입 의미 |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나 일부 사람의 경우 설사를 경험할 수 있음 | |
알루미늄 | 0.2㎎/ℓ이하 | 산업폐기물의 부식, 광물과 토양의 침출 등으로 환경으로 배출 |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