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지질공원은 지질학적으로 뛰어난 가치를 지닌 자연유산 지역을 보호하면서 이를 토대로 관광을 활성화하여 주민소득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유네스코 프로그램이다. 2004년 유네스코와 유럽 지질공원망(EGN)의 협력으로 세계지질공원 네트워크가 설립되었으며, 전 세계 30개국 100개소(2014년 기준)가 세계지질공원 네트워크에 가입되어 있다. 제주도는 2010년 10월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인증되었다.
용머리해안
천지연폭포
다양한 화산지형과 지질자원을 지니고 있는 제주는 섬 전체가 세계지질공원이다. 그 중에서 대표적인 지질명소는 섬 중앙에 위치한 제주의 상징인 한라산, 수성화산체의 대표적 연구지로 알려진 수월봉, 용암돔으로 대표되는 산방산, 제주 형성초기 수성화산활동의 역사를 간직한 용머리해안, 주상절리(柱狀節理 : 화산폭발 때 용암이 식으면서 부피가 줄어 수직으로 쪼개지면서 5~6각형의 기둥형태를 띠는 것)의 형태적 학습장인 대포동 주상절리대, 100만년전 해양환경을 알려주는 서귀포 패류화석층, 퇴적층의 침식과 계곡·폭포의 형성과정을 전해주는 천지연폭포, 응회구의 대표적 지형이며 해뜨는 오름으로 알려진 성산일출봉, 거문오름용암동굴계 가운데 유일하게 체험할 수 있는 만장굴, 추가로 대표명소로 지정된 우도, 비양도, 선흘 곶자왈, 교래삼다수마을 등 13 대표명소가 있다.
구분 | 천연기념물 지정현황(지정년도) |
---|---|
한라산 | 제182호(1966년) |
만장굴 | 제98호(1962년) |
성산일출봉 | 제420호(2000년) |
서귀포 패류화석층 | 제195호(1968년) |
천지연폭포 | 제379호(1966년) |
대포동 주상절리대 | 제443호(1998년) |
산 방 산 | 제376호(1966년) |
용머리해안 | 제526호(2010년) |
수 월 봉 | 제513호(2009년) |
우 도 | 제438호(2004년) |
비 양 도 | 제439호(2004년) |
선흘 곶자왈 | 도지정문화재 |
교래삼다수마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