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제주시 원도심 추억 사진 공모 <당신의 추억(追憶)이 모두의 기억(記憶)이 됩니다.> | ||
---|---|---|---|
작성일 | 2020-04-10 11:24:30 | 조회 | 975 회 |
작성자 | 민속자연사박물관 | ||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에서 제주시 원도심 추억 사진을 공모합니다.
제주시 원도심에서 찍었던 여러분의 사진을 통해 당시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
선정된 사진은 민속자연사박물관 제주체험관에 전시될 예정입니다.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 공 모 명: 제주 원도심 추억 사진 <당신의 추억(追憶)이 모두의 기억(記憶)이 됩니다.>
□ 공모기간: 2020. 4. ~ 12.
□ 공모주제: 제주시 원도심 관련 사진
□ 공모자격: 제주시 원도심에 추억이 있는 전국민 누구나
□ 사진 내용 - 시간적 배경: 1990년대 이전 - 공간적 배경: 제주시 원도심 ※ 제주시 원도심(제주읍성 주변 일대): 현 동문로터리, 동문시장, 탑동, 산지천, 중앙로 지하상가, 오현단, 칠성로, 관덕로, 무근성 주변 일대 등 - 사진 내용: 제주시 원도심을 배경으로 한 인물 사진이나 풍경 사진 ※ 예시) 1970년대 관덕정 앞에서 찍은 가족 사진, 1980년대 동문시장에서 찍은 기념 사진 등
□ 공모 사진 수: 제한없음
□ 공모규정 - 출품자는 자신이 저작권을 보유한 작품에 한하여 출품이 가능합니다. - 사진 촬영자 및 촬영장소가 명확하고, 촬영시기를 특정할 수 있어야 합니다.
□ 공모 요령 - 신청방법: 직접방문, 우편접수 또는 이메일 접수 - 방문접수장소: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 연구과 - 우편 접수: 제주시 삼성로 40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 민속자연사연구과 - 이메일 접수: jhpaper2351@korea.kr - 출품서류: 1)사진 원본, 2)참가신청서 ※ 이메일 접수시 유의사항 : 사진은 JPG 형식으로 스캔하여 첨부함(해상도는 300dpi 이상 메모리 2MB 이상이어야 함)
□ 기타사항 - 선정된 사진은 전시용으로 제작하여 일정기간 박물관에서 전시됩니다. - 사진 원본은 전시용 사진 제작 후 출품자에게 반환할 예정입니다. - 선정작의 저작권 및 초상권에 대한 모든 책임(소유)은 출품자에게 있으며, 선정작은 제주 원도심 추억 사진展 관련 홍보물 제작, 보도자료 배포 등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 컴퓨터 그랙픽 또는 합성으로 조작한 사진은 출품이 제한됩니다. - 선정된 후라도 출품 제한에 해당되는 사실이 발견될 경우 선정이 취소되며, 그에 따른 선정자 예우도 중단됩니다. - 출품작들 중 선정되지 않은 사진은 반환됩니다.
|
|||
첨부 #1 | 제주 원도심 추억 사진 공모 참가신청서.hwp (14 KBytes) 바로보기 |
No. | 제목 | 첨부 | 작성자 | 작성일 | |
---|---|---|---|---|---|
1012 | 2020년 민속자연사박물관 추석민속한마당행사 취소 알.. | 민속자연사박물관 | 2020-09-24 | 402 | |
1011 | 민속자연사박물관 임시휴관 연장(2020.9.3.~10.12.) .. | 민속자연사박물관 | 2020-09-02 | 912 | |
1010 | 오감으로 표현된 발달장애아동 작품 ‘한 눈에’.. | 2 | 민속자연사박물관 | 2020-08-19 | 700 |
1009 | 『제주의 비경을 마음에 담다』 사진전 개최.. | 1 | 민속자연사박물관 | 2020-07-28 | 776 |
1008 | 박물관 사회교육프로그램 운영 연기 안내.. | 민속자연사박물관 | 2020-07-25 | 736 | |
1007 | 제주 유배인과 함께 역사를 걷다 | 1 | 민속자연사박물관 | 2020-07-14 | 808 |
1006 | <박물관 시민 아카데미> 제주 설화 | 1 | 민속자연사박물관 | 2020-07-07 | 853 |
1005 | 병와 이형상의 제주목사 시절의 기록 『탐라록』, 박.. | 1 | 민속자연사박물관 | 2020-07-02 | 557 |
1004 | <박물관 시민 아카데미> 개강! | 1 | 민속자연사박물관 | 2020-07-01 | 591 |
1003 | 초서 명가 초청『매계 영주십경전』서예전 개최.. | 2 | 민속자연사박물관 | 2020-06-30 | 4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