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약사
한경면 신창리는 제주시에서 서쪽으로 42km지점에 위치한 마을로서 원래 이 부락은 두모리에 속했으나 1900년에 마을 대표들이 주동이 되어 두모리에서 분리 시켰다.
신창리로 분리된 후의 역사는 70년밖에 안되므로 이 부락의 설촌 내력을 밝히는 데는 그 전신인 두모리에 속해있을때의 고증이 바람직하다.
설촌시대는 정확히 고증할 수 없으나 7백여 년 전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 연유는 제주도에 방목장을 설치하고 말을 길러 군마용으로 중앙에 진상했던 점을 들 수 있는데 지금의 고산리에 방목장이 설치됐던 점으로 미루어 그 외곽지대인 신창리에도 사람들이 살았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최초에 이곳에 정착한 사람은 확실히 밝혀진바 없고 고씨가 제일 먼저 들어와 살았다는 얘기가 전해지고 있다.
신창리 지역에서는 가끔 남방아 등 유물이 출토되어 고산리가 옛날 방목지라는 사실과 오래 전부터 사람이 살았음을 증명해 준다.
역대이장
順 位 | 姓 名 | 在 任 期 間 | 연 락 처 |
---|---|---|---|
1 | 좌승택(左升宅) | ∼ 1952. 2. 15 | |
2 | 좌용락(左龍樂) | 1952. 2. 15 ∼ | |
3 | 고창준(高昌俊) | 1961. 7 4 ∼ 1962. 1 . 7 | |
4 | 신진봉(愼珍峯) | 1962. 7. 4 ∼ 1963. 1 .21 | |
5 | 고찬선(高燦善) | 1963. 1. 21 ∼ 1964. 4. 17 | |
6 | 고익선(高益善) | 1964. 4. 17 ∼ 1965. 1. 20 | |
7 | 김태영(金太榮) | 1965. 1. 20 ∼ 1966. 9. 14 | |
8 | 신진남(愼珍南) | 1966. 9. 14 ∼ 1968. 9. 27 | 773 - 1007 |
9 | 김성홍(金晟洪) | 1968. 9. 27 ∼ 1971. 10. 18 | 772-4422 |
10 | 김보연(金寶演) | 1971. 10. 18 ∼ 1976. 1. 31 | |
11 | 고정웅(高正雄) | 1976. 2. 1 ∼ 1976. 12. 20 | |
12 | 김태은(金泰銀) | 1976. 12. 21 ∼ 1977. 2. 16 | |
13 | 좌인천(左仁天) | 1977. 3. 3 ∼ 1980. 2. 1 | 772 - 3377 |
14 | 김원호(金元豪) | 1980. 2. 1 ∼ 1986. 3. 10 | 772 - 3152 |
15 | 김도형(金度亨) | 1986. 3. 10 ∼ 1990. 2. 23 | 773 - 1104 |
16 | 좌문길(左文吉) | 1990. 3. 12 ∼ 1992. 2. 17 | 772 - 3210 |
17 | 윤학만(尹學滿) | 1992. 2. 17 ∼ 1994. 3. 3 | 772 - 3138 |
18 | 김봉준(金逢俊) | 1994. 3. 3 ∼ 1996. 2. 15 | 772 - 3129 |
19 | 고홍주(高洪柱) | 1996. 2. 1 ∼ 1998. 2. 26 | 772 - 3260 |
20 | 김 성 보(金成寶) | 1998. 2. 26 ∼ 2000.1.21 | 772 - 4265 |
21 | 장임학(張林鶴) | 2000. 1. 22 ∼ 2002. 1. 16 | 773 - 1171 |
22 | 강순권(姜順權) | 2002. 1. 17 ~ 2006. 2. 27 | 772 - 5444 |
23 | 김영배(金榮培) | 2006.2.28 ~2008.1.29 | 773-1047 |
24 | 강종근(姜宗根) | 2008.1.30~2010.1.22 | 773-223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