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공급기본방향
천혜의 자연환경, 쾌적한 주거문화, 가족의 행복이 미소짓는 도시
- 건강한 삶의 터전인 친환경 주거지역 조성
- 중심지구 주변에 입지하여 직주 근접 주거환경 조성
- 개성있고 다양한 형태의 주택조성
- 푸른 숲과 맑은 물이 흐르는 자연 친화적 주거환경 조성
- 편리한 삶을 위한 생활편익시설 및 복지시설 배치
주택공급계획
주택공급계획 구분 면적 세대수 구성비 비고
구분 |
면적(㎡) |
세대수(호) |
구성비(%) |
비고 |
합계 |
208,387 |
1,870 |
100.0 |
|
단독주택 |
50,012 |
156 |
8.5 |
|
공동주택 |
아파트
(3개블럭) |
158,375 |
1,714 |
91.5 |
|
- 공동주택 건설계획
- 2블럭 : 한국토지주택공사 자체건설 공급
- 1블럭 : 민간분양건설 공급
환경보전 및 공원ㆍ녹지계획
"자연지형 보전과 생태계의 확보로 누구나 살고 싶은 친환경 녹색도시 조성"
환경보전 계획의 기본방향
- 한라산·고근산과 연계하여 남북방향의 중심녹지축 계획
- 공원·녹지계획
- 자연성
- 주변환경을 고려한 자연친화적 설계 기법 도입
- 녹지폭의 변화로 자연스러운 녹지 공간 계획
- 지역성
- 지역적 특성을 살려 열린공원으로 조성
- 지역주민의 건강과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공간 제공
- 역사·문화성
- 과거의 흔적(돌담길)등 역사적 의미를 도입한 공간연출
- 문화,휴식,이벤트 커뮤니티 공간제공
- 친화성
- 주변지역과 혁신도시와 친화할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
- 자연환경과 인공시설물의 조화되는 완충공간
- 공원·녹지구상
- 공원녹지구상
- 남으로 바다와 북으로 육지를 연결하는 공간이며, 또한 좌우의 인공시설물과 자연환경이 교호하는 공원녹지 조성
- 연결녹지
- 혁신도시의 경관향상과 동시에 주변 지역의 녹지를 연결하는 녹지통로를 조성하여 혁신도시의 기능을 활성화
- 완충녹지
- 바람이 많은 제주지역의 기후를 고려하여 남북으로 방풍림을 조성
도로 및 교통계획
교통계획 기본방향
- 지방도 1131호선 및 지방도 1136호선 등과의 직접적인 광역도로 연결체계와 사업지구 내부교통망의 원활한 접속으로 광역 접근성 향상
- 기존 신시가지와 연계한 가로망 계획과 교통계획량을 고려한 무신호 체계의 회정교차로 시스템 계획(4개소 도입)
- 이전공공기관 및 지구 중심부에 위치한 공원과의 원활한 접근과 쾌적한 보행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보행자전용도로 4개소(5,168㎡)계획
- 주요간선도로와의 직접적인 연결체계 구축
- 무신호 체계의 회전교차로 시스템 도입
보행자 및 자전거 도로 계획
- 자전거 도로 Network
- 주변지역과 주거단지 - 상업가 사이를 유기적으로 연결
- 총연장 8km의 순환형 자전거도로계획
- 보행중심도로 Network
- 보행이 편리한 보도 및 녹도조성
- 총연장 5km, 보도 + 자전거도로 + 녹지
- 500 ~ 1,000m (10~20분) 간격의 쉼터마당 조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