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녀 어업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
2020년에는 이렇게 도와드리겠습니다.
2020년 투자 계획
2020년에는 총 55개 사업에 219억원을 투자하겠습니다.
도(해녀문화유산과 등) 32개사업 ․ 78억원(도비) |
행정시(해양수산과) 23개사업 ․ 141억원(국비 58, 도비 83) |
|
---|---|---|
소라가격 보전, 해녀굿, 해녀축제, 해녀문화홍보, 패류어초 투하, 종자방류 등 | 해녀진료비, 유색 해녀복, 해녀탈의장 보수보강 및 운영비, 해녀수당 및 안전보험료 지원 등 |
2020년 주요 지원사업
소라가격 보전 지원 : 3개사업 • 2,126백만원
- 해녀분들이 생산한 소라 1kg당 1,000원을 도에서 지원하겠습니다.
- 제주산 소라가 수출만으로는 가격하락이 계속되고 있어 국내 소비촉진을 확대하고 제주산 소라의 기능성 상품 개발을 위한 연구도 시작하고 있습니다.
고령해녀 보호와 신규해녀 육성 : 3개사업 ․ 3,178백만원
- 고령해녀수당 : 70세 이상 월 10만원, 80세 이상 월 20만원 지원
- 은퇴수당 : 80세 이상 월 30만원(3년간)
- 신규해녀 초기정착금 : 만 40세 미만 월 30만원(3년간)
- 현업에 종사하고 계시는 고령해녀분들에게 매월 수당을 지급하여 생계안정자금을 지원하고
- 2019년 하반기부터 고령해녀 은퇴수당 제도를 도입하여 현업에 종사하고 있는 80세 이상 고령해녀가 물질을 그만두면 은퇴수당을 지원하여 무리한 조업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도록 하겠습니다.
- 또한 해녀어업 진입 초기에 겪는 소득불안을 해소하고, 신규해녀의 어촌계 진입유도 및 어촌의 안정적 정착을 위해 신규해녀 초기정착금을 지원하겠습니다.
해녀진료비 지원 사업 : 9,101명·5,517백만원
- 각종 질환으로 시달리는 해녀들의 의료보장 차원에서 도내 478개소 병·의원에서 외래진료비 본인부담액 전액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 앞으로 중복 과다진료 등으로 일반 재정부담 등 진료폐단을 개선하여 지속가능한 사회보장지원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해녀굿(영등굿, 잠수굿 등) 운영비 지원 : 35개어촌계․169백만원
- 제주해녀 전통신앙이 고령화, 현대화 등으로 사라지고 있어 보존 및 활성화를 위하여 어촌계에서 주관하는 해녀굿을 지원하겠습니다.
마을어업 경영평가 우수어촌계 지원 : 4개어촌계 ․ 135백만원
- 어장관리, 해조류 공동생산․공동분배, 바릇잡이 어장 개방 등 마을어업권 관리 경영평가를 실시하여,
- 잘하고 있는 어촌계는 지원을 많이 하고, 못하는 어촌계에 대하여는 페널티 적용 등 차별화를 기해 나가겠습니다.
「해녀의 날」과 연계한 “제주해녀축제”개최 : 3개 사업 ․ 377백만원
- 9월 셋째주 토요일에 「해녀의 날」과 연계해 “제주해녀축제”를 열어 모든 해녀들이 함께 할 수 있는 축제의 장을 마련하겠습니다.
제주해녀항일운동의 가치 제고 및 위상 재정립 : 347백만원
- 국내 최대 여성항일운동이며, 제주의 3대 항일운동인 ‘제주해녀항일운동’의 역사적 의미를 기리고 그 정신을 후손에 계승하는데 주력하겠습니다.
제주해녀문화 홍보 및 세계중요농어업유산 등재 지원 : 3,749백만원
- 어촌계 해녀공연단 해외공연 확대, 해녀문화 예술창작 지원, 우수 콘텐츠 상품개발 등 제주해녀문화의 중요성을 세계에 알리고 더 나아가 FAO GIAHS(세계중요농어업유산)에 등재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협조해주실 사항
- 조업 중 사고예방을 위해 '나 혼자 물질'이나 '무리한 물질'을 금지해 주시고, 천초 등 해조류 공동생산분배제도를 적극 추진해 주시기 바랍니다.
- 소라는 해녀들의 중요한 소득원이므로 지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자원유지가 중요하므로 TAC(할당량)를 준수해 주셔야 합니다.
- 유네스코 등재 등의 자부심을 갖고 마을어장 이용에 대한 도민, 관광객과의 분쟁이 발생되지 않도록 품위를 지켜주시기 바랍니다.
앞으로 우리 도에서는
- 1해녀 전통문화인 나눔과 배려문화의 확산, 유네스코 등재에 걸 맞는 지역사회 일원으로서의 역할 강화 등 해녀 공동체 의식 부활을 추진하겠습니다.
- 2해녀문화 유네스코 등재의 의미 재조명과 제주해녀 항일운동 위상을 재정립하고 올바른 해녀문화의 전승을 위한 역사성 등 제주해녀 가치 정립을 추진하겠습니다.
- 3제주해녀를 브랜드로 한 문화상품 개발, 창의적인 관광·콘텐츠 개발, 해녀문화 홍보마켓 확대 등을 통한 해녀문화산업을 육성하겠습니다.
- 4각종 안전장비 확대지원, 고령해녀은퇴수당 지급, 해녀문화마켓 조성 홍보 등 무리한 조업을 방지하고, 어업 외 소득원을 발굴, 창출하여 우리 제주해녀를 보호하고 행복지수를 높이는데 앞장서겠습니다.
- 5제주해녀문화 우수성과 독창성에 대하여 일반인은 물론 해녀공연단을 해외 공연을 참여시켜 해녀들의 자긍심을 높이고, 실질적인 홍보가 될 수 있도록 추진해 나가겠습니다.
“살아있는 어업문화유산”인 해녀 공동체문화를 한국 신여성문화의 모델로 제시하고
국가브랜드로 육성하고 지역문화를 세계화할 수 있도록 노력해나가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