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번 | 분류 | 국가 및 도시명 | 체결 일시 | 비고 |
---|---|---|---|---|
1 | 자매결연 (6) |
미국 하와이주 | '86. 11. 25 | |
2 | 인도네시아 발리주 | '89. 06. 16 | ||
3 | 러시아 사할린주 | '92. 01. 17 | ||
4 | 중국 하이난성 | '95. 10. 06 | ||
5 | 포르투갈 마데이라주 | '07. 01. 23 | ||
6 | 일본 아오모리현 | '16. 08. 08 | ||
7 | 우호도시 (8) |
타이베이시 | '97. 08. 11 | |
8 | 호주 태즈매니아주 | '97. 10. 27 | ||
9 | 일본 시즈오카현 | '00. 11. 14 | ||
10 | 중국 다롄시 | '01. 03. 24 | ||
11 | 베트남 키엔장성 | '08. 05. 21 | ||
12 | 중국 상하이시 | '09. 09. 25 | ||
13 | 중국 헤이룽장성 | '13. 06.14 | ||
14 | 일본 홋카이도 | '16. 01. 12 | ||
15 | 실무교류도시 (3) |
중국산둥성 | '08. 05. 06 | |
16 | 중국 푸젠성 | '08. 05. 09 | ||
17 | 중국 후베이성 | '15. 08. 25 |
연번 | 국제기구 및 협의체명 | 체결일시 | 담당부서 | 비고 |
---|---|---|---|---|
1 | NEAR (동북아자치단체연합) | ’96. 9 | 평화대외협력과 | |
2 | UCLG (세계지방정부연합) | ’´04. 1 | 평화대외협력과 | |
3 | APCAD (아시아태평양차별반대도시연합) | ’07. 10 | 평화대외협력과 | |
4 | KAS (한․아랍소사이어티) | ’08. 5 | 평화대외협력과 | |
5 | APCS (아시아태평양도시서밋) | ’08. 9 | 평화대외협력과 | |
6 | 한일해협연안시도현지사교류회의 | ’92. 8. | 평화대외협력과 | |
7 | 환태평양공원도시협의체 | ’12. 6. | 평화대외협력과 | |
8 | 평화 수장 회의 | ‘17. 5 | 평화대외협력과 | |
9 | AFHC (WHO 서태평양지역건강도시연합) | ’03. 10 | 보건건강위생과 | |
10 | KUSEC (한미경제협의회) | ’08. 1 | 투자유치과 | |
11 | PATA (아태관광협회) | ’85. 2 | 관광정책과 | |
12 | ASTA (미주여행업협회) | ’95. 4 | 관광정책과 | |
13 | ICLEI (자치단체국제환경협의회) | ’05. 3 | 환경정책과 | |
14 | IUCN (세계자연보전연맹) | ’08. 3 | 환경정책과 | |
15 | UEA (도시환경협약) | ’13. 5 | 환경정책과 | |
16 | WeGO (세계스마트시티기구) | ‘19. 10 | 디지털융합과 | |
17 | PPCA (탈석탄동맹) | ‘20.12 | 환경정책과 |
명 칭 | United Cities and Local Governments (UCLG) | |||
---|---|---|---|---|
홈페이지 | https://www.uclg.org/ | |||
설립목적 | ㆍ지방자치단체 대민서비스 질적 향상, 주거환경 향상 도모, 지역사회 경제발전 지원 ㆍ국제적으로 자치단체 간 정보와 정책공유 및 지방자치 분권 실현 노력 |
|||
설립연혁 | ㆍ1913년: 국제적 지방자치단체 연합조직으로 설립 ㆍ2004년: 세계 양대 지방자치단체 기구 중 하나인 UTO와 통합 추진 및 통합 |
|||
회 원 | UN 193개 회원국가중 140개국의 1,000여개 지자체 및 관련 기구 | 회 비 | GDP와 인구 기준으로 계산 | |
회의주기 | ㆍWORLD : 총회 3년 주기, 집행부 연2회, 이사회 연1회 ㆍASPAC(아태지부) : 총회 2년 주기, 집행부 연2회, 이사회 연1회 |
|||
주요활동 | ㆍ지방정부의 역할과 지위를 홍보 ㆍ협회 간 파트너쉽 도모 및 협회가 없는 나라의 협회구성 지원 ㆍ지방정부 간 네트워크 지원 및 지식교류의 장 제공 |
|||
조 직 | ㆍWORLD 총회(General Assembly) : 정회원으로 구성 ㆍWORLD 이사회(World Council) : 342개 지자체 대표로 구성 ㆍWORLD 집행부(Executive Bureau) : 116개 지자체 대표로 구성 ㆍWORLD 회장단 : 남아공지자체연합회장 외 16명 ㆍWORLD 사무국 : 스페인 바르셀로나 |
ㆍASPAC 총회(General Assembly) : 정회원으로 구성 ㆍASPAC 이사회(World Council) : 48개 지자체 대표로 구성 ㆍASPAC 집행부(Executive Bureau) : 16개 지자체 대표로 구성 ㆍASPAC 회장단 : 인니 수라바야 시장 외 8명 ㆍASPAC 사무국 :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
||
비 고 |
명 칭 | 동북아시아지역자치단체연합 / The Association of North East Asia Regional Governments |
---|---|
홈페이지 | http://www.neargov.org/ |
목 적 | ㆍ 회원 간 교류협력을 통해 지역전체의 공동발전 증대 |
설립연월 | ㆍ 1996. 9. |
본 부 | ㆍ 경북 포항 *제5대 사무총장 : 김옥채 사무총장(‘19.5 ~ ’21.5 ) |
회 원 | ㆍ 한국, 중국, 일본, 몽골, 북한, 러시아 78개 자치단체 |
활동방향 | ㆍ NEAR 사무국 및 회원도시와의 협업을 통한 정부의 핵심대외정책인 신북방정책 연계 교류활동 추진하여 시너지 도모 |
참 고 |
명 칭 | 한국-아랍소사이어티 / Korea - Arab Society | ||
---|---|---|---|
홈페이지 | http://www.korea-arab.org/ | ||
설립배경 | 한국 – 아랍 간 이해증진 및 다방면 교류 확대 | ||
이 사 장 | 김영주 한국무역협회 회장 | 설립연월 | 2008년 7월 |
재 원 | ㆍ 147억원 (양측 정부 및 기업 기여금) ㆍ 도 기여금 10억원 (한국 기여금 106억원) ㆍ 한국정부(외교부)는 한국국제교류재단을 통해 사업비 지원 |
||
회 원 | ㆍ 한국 및 아랍 22개국 정부(왕실), 기업, 단체 | ||
이 사 회 | ㆍ 26명 (한국 12명, 아랍 14명) | ||
비 고 |
명 칭 | 한일해협연안시도현지사교류회의 | ||
---|---|---|---|
홈페이지 | http://www.korea-japan-strait8.org | ||
설립목적 | ㆍ한일해협권의 공동 발전을 위한 의견, 정보의 교환 및 시책‧신규사업 발굴 등 | ||
설립연혁 | ㆍ1990 : 노태우 대통령 방일 시 양국 정상간 신한일관계 구축 합의 ㆍ1991 : 한일외무부장관 회담(도쿄)「한일자치단체간 교류 촉진회의」개최 합의 |
||
회 원 | ㆍ한국 : 제주특별자치도, 부산광역시, 경상남도, 전라남도 ㆍ일본 :후쿠오카현, 나가사키현, 사가현, 야마구치현 |
||
회의주기 | ㆍ지사회의 : 연 1회 (윤번제 개최) ㆍ실무회의 : 연 2회 이상 (윤번제 개최, 지사회의 당일 및 개최 후 2개월 이내) ㆍ준비회의 : 연 1회 이상 (지사회의 개최 1~2개월 전 개최) |
||
조 직 | ㆍ준비회의 - (참가) 국제교류 과장 - (내용) 지사회의 준비 상황 점검 등 협의 |
ㆍ지사회의 - (참가) 시도현 지사 - (조직) 의장(개최지 지사), 간사(개최지 및 다음 개최지) |
ㆍ실무회의 - (참가) 국제교류 담당부서 - (조직) 의장(개최지 국장), 간사(개최지 및 다음 개최지) - (내용) 지사회의 결과 교류사업 추진방법 결정 |
비 고 |
명 칭 | 환태평양공원도시협의체 |
---|---|
설립목적 | ㆍ기 조성된 공원이 위치한 도시 간 문화의 가교 역할과 환태평양지역의 상호협력의 새로운 네트워크를 발전시키기 위한 협의체 |
회 원 | ㆍ환태평양공원 조성 7개 도시 ㆍ미국 샌디에고,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중국 옌타이, 필리핀 푸에르토프린세사, 멕시코 티후아나, 한국 제주, 대만 카오슝 |
회의주기 | ㆍ매년 5월 제주포럼 연계 회의개최 |
활동실적 | ㆍ’10. 6번째 공원 제주 조성 ㆍ제주에서 먼저 ’11년 환태평양공원재단에 ‘환태평양공원재단 협의체’ 구성 제안 |
명 칭 | Mayors for Peace | ||
---|---|---|---|
홈페이지 | http://www.mayorsforpeace.org | ||
설립목적 | ㆍ도시 간 긴밀한 연대를 통하여 핵무기 근절을 향한 시민의식을 국제적 규모로 환기하는 활동을 통하여 세계평화 실현에 기여 | ||
설립연혁 | ㆍ1982년 히로시마시, 나가사키시 공동설립 ㆍ1991년 UN 경제사회이사회 등록 ㆍ2001년 ’평화수장회의‘로 명칭 변경(기존: 세계평화연대도시 시장회의) |
||
회 원 | ㆍ세계 165개국·지역 7,974개 도시 | 회 비 | ㆍ연회비 2,000엔 |
회의주기 | ㆍ총회 :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서 4년마다 교대로 개최(주요사항 결정) ㆍ이사회 : 임원 도시를 대상으로 임원 도시에서 2년마다 개최 |
||
주요활동 | ㆍ“2020 비전” 핵병기 철폐를 위한 긴급행동 추진 ㆍ평화수장회의 행동계획(2017-2020) 수립 및 활동 ㆍ핵무기 근절 국제 여론 확대 활동 ㆍ유엔과 정부 대상 핵무기금지조약의 체결을 위한 행동 호소 |
||
조 직 | ㆍ회장도시 및 사무국 : 히로시마 ㆍ임원도시 27개 곳 |
회장단 | ㆍ회장 : 마츠의 카즈미 (히로시마시장) |
비 고 |
명 칭 | Asia-Pacific Coalition of Cities Against Discrimination |
---|---|
홈페이지 | https://bangkok.unesco.org |
목 적 | ㆍ 도시의 사회적 포용성 증진 및 차별 없는 사회 구성 위해 지방정부, 시·군 의회 등이 논의할 수 있는 지역 플랫폼 역할 수행 |
설립연도 | ㆍ 2006년 |
본 부 | ㆍ 유네스코 방콕 |
회 원 | ㆍ 아태지역 24개국 70개 도시 |
비 고 |
명 칭 | Asian-Pacific City Summit |
---|---|
홈페이지 | http://apcs.city.fukuoka.lg.jp/2020/ |
목 적 | ㆍ 아․태지역 도시 대표 간 네트워크를 통한 상호협력 방안모색 ㆍ 아․태지역과 타 지역간의 무역, 문화 등 다양한 분야 우의증진 촉진 |
설립연도 | ㆍ 1994년(후쿠오카시 제안으로 설립) |
본 부 | ㆍ 후쿠오카시 |
회 원 | ㆍ 13개국 30개 도시 : 중국 (상해, 대련 등 5개 도시), 러시아(블라디보스톡), 한국(부산, 포항, 제주), 미국 (호놀루루), 태국(방콕), 베트남(호치민), 말레이시아(쿠알라룸프) 등 |
비 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