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수처리공법별 | 적용 개소 | 공법개요 | 비고 |
---|---|---|---|
하수처리장 4개공법 8개소 | |||
계 | 64 | 16개 공법 8개 하수처리장 56개 소규모 및 간이오수처리시설 | |
표준 활성슬러지 법 | 호기조에 공기를 불어넣어 하수와 미생물을 혼합시킴으로써 미생물에 의해 하수중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방법 | ||
순환식질산화탈질법 (MLE) |
1 | 표준활성슬러지를 개량한 공법으로 무산소/호기조를 이용하여 질소 제거 효율을 향상시킨 고도처리공법 | 제주 |
고도처리 B3 | 2 | 최초침전지, 포기조(1실~4실), 최종침전지로 구성되어 있고, 4실로 구분된 포기조에 미생물활성제(Bio-Tonic) 투입 및 점감포기방식을 이용하여 바실러스속 세균을 우점화시켜 유기물 및 질소·인을 제거하는 하수처리기술 | 보목, 색달 |
연속회분식활성 슬러지법 (SBR ICEAS) |
- SBR 공정을 변형하여 한 개의 반응조를 이용하는 동안에 연속적으로 하수 또는 폐수를 유입할 수 있음. - 처리공정은 동일한 반응조내에서 생물학적 산화, 질산화 , 탈질 및 고액분리가 이루어지는 포기, 침전, 처리수 유출의 3단계로 운전되어지므로 채움(Fill)과 슬러지 배출(Idle) 시간이 필요 없음. - 주 반응조 전단에 설치되어 있는 전처리 반응조에서는 높은 F/M 비를 유지하여 유기적 선택자(Organic Selector)로서의 역할을 하며, 이는 슬러지 벌킹의 원인이 되는 사상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역할을 함. ※ SBR 공법 : 단일 반응조에서 오·폐수의 유입 및 처리수의 유출이 일어나는 공정으로 정해진 시간의 배열에 따라 각 단위공정이 연속적으로 일어난다. 즉, 유입(Fill)공정 → 반응(React)공정 → 침전(Settle)공정 → 배출(Draw)공정 → 휴지(Idle)공정의 순으로 반응이 진행됨. |
동부, 서부, 대정, 성산, 남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