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원장 고형범)은 터봇 완전양식을 위한 연구를 통해 수정란을 시험 보급한 결과, 도내 민간배양장에서 대량으로 터봇 종자 생산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 터봇은 유럽산 가자미의 일종으로 일반 광어보다 육질이 더 찰지고 단단해 ‘찰광어(찰진 광어)’라고 불린다.
■ 도내 어류 양식산업은 2021년 기준 광어 생산량이 87.6%로 단일 어종 양식에 편중돼 소비시장 여건 등 양식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새로운 양식대상종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 이에 제주도 일부 양식장에서는 연중 일정한 수온(17~19℃)을 유지하는 지하해수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활용해 냉수성 어종인 터봇을 양식하고 있다.
❍ 국내에서는 터봇 친어 관리가 어렵고, 수정란이 생산되지 않아 전량 중국에서 종자를 수입해 양식하고 있다.
■ 해양수산연구원은 우수한 터봇 친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민간배양장이 우량 수정란 생산기술을 확립하도록 다년간 △어미화 △환경제어를 통한 성 성숙 유도 △호르몬을 이용한 수정란 생산 및 인공수정방법 등을 연구했다.
❍ 확립된 기술을 바탕으로 올해 116만개의 인공수정란을 4개소의 민간배양장에 시험 보급했으며, 1개소에서 종자 5만 마리(전장 5~8㎝)를 생산하는데 성공했다.
■ 국내에서 유일하게 제주도에서만 생산되는 터봇은 미국, 캐나다, 동남아시아 등지에서 인기가 높아 매년 활어 수출이 증가하는 추세다.
* 수출량 : (‘20년)14톤 → (‘21년)45톤 → (‘22년) 63톤
❍ 해외에서는 스테이크, 찜요리 등으로 고가에 판매되며 국내에서는 횟감으로 대부분 소비되고 있다.
❍ 현재 터봇의 가격은 ㎏당 2만 6,000원으로 광어(kg당 1만원)보다 비싼 가격에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
■ 고형범 제주도 해양수산연구원장은 “제주 양식어류의 다변화를 위해 터봇 수정란 보급량을 확대하고, 종자생산 기술을 지원해 종자 수입의존도를 낮추고 어민들의 소득 증대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