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원장 고형범)은 제주특산 품종인 오분자기의 종자산업 활성화를 위해 도내 전복류 양식어업인을 대상으로 수정란을 무상으로 시험 보급한다.
❍오분자기는 온대성 소형 전복류로 한국의 제주 연안, 일본의 혼슈 중부 이남, 중국 남부 및 대만 지역에 주로 서식하며 필리핀과 인도네시아 등의 아열대 지역 일부에서도 국소적으로 서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아열대 기후에 적합한 오분자기는 최근 해수온도 상승에 따라 마을어장 방류품종으로 적합하다고 판단되며, 해양수산연구원은 지난 2001년부터 현재까지 약 500만 마리의 오분자기 종자를 방류해 왔다.
❍다만 다른 전복류에 비해 서식 수심이 얕아 비교적 쉽게 어획될 수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인공종자 생산에 따른 치패 방류와 자원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다.
❍또한 현재 오분자기 종자생산은 국내에서는 제주에서만 이뤄지고 있으나, 건강한 어미 오분자기 확보의 어려움으로 민간에서는 충분한 수정란 생산이 이뤄지지 않아 종자산업 활성화에 장애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해양수산연구원은 수정란을 무상으로 보급해 오분자기 종자생산 산업에 활력을 불어넣고 지속적인 관리 체계도 구축해나갈 방침이다.
❍보급 대상은 도내 전복류 종자생산 어업인이며, 해양수산연구원 수산종자연구과로 신청 및 직접 방문하면 보급받을 수 있다.
❍수정란 보급 후에는 지속적인 현장 모니터링으로 양식장별 종자생산 데이터를 수집해 현장 기술지도에 활용할 예정이며, 향후 체계적 어미 관리와 우량개체 선발 등을 통해 양질의 수정란 공급체계를 구축해 나갈 예정이다.
❏고형범 해양수산연구원장은 “오분자기는 다금바리와 같이 제주를 대표하는 특산 수산물로 제주도 전복류 양식산업에서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한 품종”이라며 “민간에서 종자생산이 원활히 이뤄질 때까지 수정란 보급 등 연구개발과 기술지원을 꾸준히 추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