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시] 해양수산연구원, 참조기 치어 7만 마리 방류

참조기 이동경로인 관탈도 해역 2만 마리·애월 고내포구 5만 마리

참조기 치어 참조기 치어

■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은 제주도 어선어업 주 소득원 중 하나인 참조기 치어(어린고기) 7만 마리를 참조기 이동경로에 방류했다.

 

■ 참조기는 작은 환경변화에도 쉽게 폐사하는 어종으로 그간 단시간에 운송해 방류하는 연안 방류를 추진해왔다.

 

❍ 하지만 올해는 참조기 치어의 스트레스를 최소화하는 활어 전용 운반탱크를 이용해 참조기 회유 경로에 선상방류를 시험 추진했다.

 

❍ 해양수산연구원은 참조기 주 이동경로인 제주도 북부해역 관탈도 주변 선상에 2만 마리를, 애월읍 고내포구에 5만 마리를 방류했다.

 

■ 참조기는 제주 남서쪽 바다에서 겨울을 보내고 봄이 되면 난류를 따라 북상해 4~5월쯤 서해안에서 산란한 뒤 가을에 다시 남하하는 회유성 어종이다.

 

❍ 참조기가 이동하는 경로에 선상 방류해 방류 결과가 더욱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하고 있으며, 방류 후 1~2년이면 약 20cm 이상 성장해 어업인 소득증대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고형범 해양수산연구원장은 “앞으로도 제주 특산어종 가운데 자원량이 감소하는 어종을 대상으로 인공종자 생산기술 개발과 지속적인 방류를 추진하겠다”며 “자체 선상방류가 가능해져 다양한 자원조성이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 한편 참조기는 제주에서 갈치 다음으로 어획량과 위판금액이 많고 2021년 기준 전국 참조기 어획량의 30%를 차지하고 있다.

 

❍ 특히 추자도 특화상품으로 지역경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효자 품종이다.

 

 

문의처| 064-710-8484 / 해양수산자원과

조회| 280

작성일| 2022-07-08 09:39:38

공공누리 1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목록으로

인기 뉴스

최근 7일 기준 인기뉴스

 

담당부서
해양수산연구원 해양수산자원과
담당자
공포
연락처
064-710-8485
Q.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만족도 조사

맞춤메뉴 설정

메뉴바로가기

제주특별자치도청 및 도청 산하 홈페이지들의 메뉴 바로가기를 설정합니다.
로그인 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10개까지만 추가 가능합니다.
* 로그인을 하시면 각 메뉴 페이지에서 바로 메뉴바로가기를 추가 하실 수 있습니다.

      저장하기 설정 초기화 설정 초기화

      맞춤메뉴 닫기

      맞춤알림 설정

      알림설정하기

      제주특별자치도청 및 도청 산하 홈페이지들의 정보 알림을 설정합니다.
      선택하신 메뉴에 정보가 업데이트되면 알림톡, 문자(SMS)으로 안내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1. 카카오톡을 이용하시는 회원님의 경우 알림톡 서비스가 기본적으로 제공됩니다.
      2. 카카오톡 미설치, 알림톡 차단 회원님은 문자(SMS)를 통해 안내가 전송됩니다.

      로그인 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로그인 비회원 로그인

      맞춤알림 닫기

      추천정보

      게시물 (최근 7일 기준)

      최신등록 및 업데이트 메뉴

      추천정보 닫기

      오늘의 방송일정을 확인하세요.

      2025. 05. 01

       

      오늘의 생중계 일정이 없습니다

      생방송 목록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