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시] 해양수산연구원, 오분자기 종자 6만 마리 방류

오분자기 방류효과 증대 일환…천해역 해조생육 블록 설치구역 내 치패 방류

제주도청 제주도청

■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은 마을어장 해양생태 환경보전 사업 일환으로 추진하는 해조생육 블록이 설치된 해역에 오분자기 종자 6만 마리를 5~6일 방류한다.

 

❍ 오분자기는 제주를 대표하는 특산 수산물로 1990년대 초중반까지 150톤 내외로 꾸준히 어획됐으나, 2018년 1톤으로 어획량이 급감해 자원 고갈이 우려됐다.

 

❍ 2019년 이후부터는 3~4톤 내외의 어획량을 나타내 자원회복 가능성을 보이고 있으며, 이번에 방류되는 2㎝ 이상급 치패들은 방류 약 3년 후부터 어획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해양수산연구원은 올해 상반기 도내 마을어장 3개소에 10만 마리 오분자기 종자를 방류한데 이어 하반기에 2개소에 추가로 6만 마리를 방류한다.

 

❍ 방류 지역은 지난해 11월과 올해 10월 해조생육 블록이 설치된 마을어장 2개소이다.

 

❍ 해조생육 블록은 내부 공간에 바다 영양염(시비재)이 충전돼있어 영양염이 서서히 용출되며 해조류의 성장 촉진과 번무에 도움을 준다.

 

❍ 또한 각종 어패류의 서식장 제공에도 효과가 확인돼 바위틈이나 암반 하부에 주로 서식하는 오분자기 생태 특성에도 적합한 방류조건을 형성해 방류개체의 생존율 향상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고형범 제주도 해양수산연구원장은 “앞으로 해조생육 블록 설치 어장과 같이 서식기반이 조성된 방류지를 우선으로 오분자기 등 전복류 방류를 확대해 어촌계 소득증대와 자원증강을 유도하고, 수산생물이 서식하기 좋은 풍요로운 바다 만들기에 꾸준히 앞장서나가겠다”고 말했다.

 

 
해양수산연구원, 오분자기 종자 6만 마리 방류
해양수산연구원, 오분자기 종자 6만 마리 방류

문의처| 064-710-8483 / 해양수산자원과

조회| 295

작성일| 2022-12-05 09:36:50

공공누리 1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목록으로

인기 뉴스

최근 7일 기준 인기뉴스

 

담당부서
해양수산연구원 해양수산자원과
담당자
공포
연락처
064-710-8485
Q.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만족도 조사

맞춤메뉴 설정

메뉴바로가기

제주특별자치도청 및 도청 산하 홈페이지들의 메뉴 바로가기를 설정합니다.
로그인 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10개까지만 추가 가능합니다.
* 로그인을 하시면 각 메뉴 페이지에서 바로 메뉴바로가기를 추가 하실 수 있습니다.

      저장하기 설정 초기화 설정 초기화

      맞춤메뉴 닫기

      맞춤알림 설정

      알림설정하기

      제주특별자치도청 및 도청 산하 홈페이지들의 정보 알림을 설정합니다.
      선택하신 메뉴에 정보가 업데이트되면 알림톡, 문자(SMS)으로 안내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1. 카카오톡을 이용하시는 회원님의 경우 알림톡 서비스가 기본적으로 제공됩니다.
      2. 카카오톡 미설치, 알림톡 차단 회원님은 문자(SMS)를 통해 안내가 전송됩니다.

      로그인 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로그인 비회원 로그인

      맞춤알림 닫기

      추천정보

      게시물 (최근 7일 기준)

      최신등록 및 업데이트 메뉴

      추천정보 닫기

      오늘의 방송일정을 확인하세요.

      2025. 05. 01

       

      오늘의 생중계 일정이 없습니다

      생방송 목록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