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은 마을어장 해양생태 환경보전 사업 일환으로 추진하는 해조생육 블록이 설치된 해역에 오분자기 종자 6만 마리를 5~6일 방류한다.
❍ 오분자기는 제주를 대표하는 특산 수산물로 1990년대 초중반까지 150톤 내외로 꾸준히 어획됐으나, 2018년 1톤으로 어획량이 급감해 자원 고갈이 우려됐다.
❍ 2019년 이후부터는 3~4톤 내외의 어획량을 나타내 자원회복 가능성을 보이고 있으며, 이번에 방류되는 2㎝ 이상급 치패들은 방류 약 3년 후부터 어획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해양수산연구원은 올해 상반기 도내 마을어장 3개소에 10만 마리 오분자기 종자를 방류한데 이어 하반기에 2개소에 추가로 6만 마리를 방류한다.
❍ 방류 지역은 지난해 11월과 올해 10월 해조생육 블록이 설치된 마을어장 2개소이다.
❍ 해조생육 블록은 내부 공간에 바다 영양염(시비재)이 충전돼있어 영양염이 서서히 용출되며 해조류의 성장 촉진과 번무에 도움을 준다.
❍ 또한 각종 어패류의 서식장 제공에도 효과가 확인돼 바위틈이나 암반 하부에 주로 서식하는 오분자기 생태 특성에도 적합한 방류조건을 형성해 방류개체의 생존율 향상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고형범 제주도 해양수산연구원장은 “앞으로 해조생육 블록 설치 어장과 같이 서식기반이 조성된 방류지를 우선으로 오분자기 등 전복류 방류를 확대해 어촌계 소득증대와 자원증강을 유도하고, 수산생물이 서식하기 좋은 풍요로운 바다 만들기에 꾸준히 앞장서나가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