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시] 갯녹음어장 미이용 성게 새 소득원 개발 ‘박차’

해양수산연구원, 양배추·괭생이모자반·구멍갈파래 먹이원 활용 성게 양식 가능성 확인

해양수산연구원 기본이미지 1 해양수산연구원 기본이미지 1

■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원장 고형범)은 갯녹음 어장에 서식하는 미이용 성게에 괭생이모자반 등을 먹이원으로 활용한 시험양식 결과, 새로운 어업자원으로 육성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 갯녹음 어장에 서식하는 성게는 생식소(알)가 없어 소득품종이 아닌 마을어장 내 해조류를 다량 섭식하는 등 피해를 입히고 있다.

 

■ 해양수산연구원은 갯녹음 어장에 방치되고 있는 성게가 잡식성이면서 먹이섭식이 왕성한 특성에 착안해 어장 피해를 입히는 괭생이모자반·구멍갈파래 및 산지폐기 또는 미이용 되는 양배추 잎을 먹이원으로 새 소득원 개발을 추진하게 됐다.

 

○ 시험양식 결과, 약 100일 간 양배추 잎을 먹인 성게의 생식소 중량지수(체중 당 생식소 중량 비율)가 약 11.5%를 보임에 따라 자연산 성게 13.5%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 구멍갈파래·괭생이모자반을 먹이로 공급한 성게의 생식소 중량지수도 약 8%를 보여 성게양식 시 대체 먹이원으로 이용 가능성이 확인됐다.

 

■ 한편, 먹이로 이용한 것들은 대부분 버려지는 미이용 농산물 및 해양쓰레기로, 양식 경제성이 확인될 경우 새로운 소득 창출뿐만 아니라 환경개선 등의 효과도 기대되고 있다.

 

■ 고형범 도 해양수산연구원장은 “이번 결과를 바탕으로 어촌계 시범사업 등을 통한 경제성 평가와 사료원에 따른 영양분석 등 산업화를 위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갯녹음어장 미이용 성게 새 소득원 개발 ‘박차’
갯녹음어장 미이용 성게 새 소득원 개발 ‘박차’
갯녹음어장 미이용 성게 새 소득원 개발 ‘박차’
갯녹음어장 미이용 성게 새 소득원 개발 ‘박차’
갯녹음어장 미이용 성게 새 소득원 개발 ‘박차’
갯녹음어장 미이용 성게 새 소득원 개발 ‘박차’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목록으로

인기 뉴스

최근 7일 기준 인기뉴스

 

담당부서
해양수산연구원 해양수산자원과
담당자
공포
연락처
064-710-8485
Q.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만족도 조사

맞춤메뉴 설정

메뉴바로가기

제주특별자치도청 및 도청 산하 홈페이지들의 메뉴 바로가기를 설정합니다.
로그인 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10개까지만 추가 가능합니다.
* 로그인을 하시면 각 메뉴 페이지에서 바로 메뉴바로가기를 추가 하실 수 있습니다.

      저장하기 설정 초기화 설정 초기화

      맞춤메뉴 닫기

      맞춤알림 설정

      알림설정하기

      제주특별자치도청 및 도청 산하 홈페이지들의 정보 알림을 설정합니다.
      선택하신 메뉴에 정보가 업데이트되면 알림톡, 문자(SMS)으로 안내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1. 카카오톡을 이용하시는 회원님의 경우 알림톡 서비스가 기본적으로 제공됩니다.
      2. 카카오톡 미설치, 알림톡 차단 회원님은 문자(SMS)를 통해 안내가 전송됩니다.

      로그인 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로그인 비회원 로그인

      맞춤알림 닫기

      추천정보

      게시물 (최근 7일 기준)

      최신등록 및 업데이트 메뉴

      추천정보 닫기

      오늘의 방송일정을 확인하세요.

      2025. 05. 01

       

      오늘의 생중계 일정이 없습니다

      생방송 목록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