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해수 활용 양식 가능-가자미류 수정란 보급
- 해양수산연구원 냉수성 고급어종인 터봇, 범가자미 수정란 보급으로 양식어가 소득발굴 -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원장 고형범)은 광어에 집중된 제주 양식산업의 품종 다양화를 위해 지하해수로 양식이 가능한 냉수성 가자미류 터봇과 범가자미의 수정란을 보급한다.
❍ 해양수산연구원은 단일종에 편중된 제주 양식산업의 구조변화를 위해 제주 양식현장에 적합한 새로운 품종연구를 진행해 왔다.
❍ 제주 지하해수를 활용해 양식이 가능한 터봇과 범가자미의 인위적 환경조절을 통한 성 성숙유도와 LHRH (luteinizing hormone releasing hormone, 황체형성호르몬 방출호르몬)을 이용한 수정란 생산기법을 확립하였다.
❍ 터봇은 유럽산 광어의 일종으로 찰광어, 대문짝광어 등으로 불린다. 범가자미는 최고급 가자미류 중 하나이나 자원량이 극히 적어 희소가치가 높은 품종으로 도내 일부 어가에서 양식이 이뤄지고 있으나 수정란 수급 문제로 안정된 생산량에는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
❍ 터봇과 범가자미는 연중 섭씨 18도 이하의 수온이 최적의 양식 조건으로, 육지부에서는 하절기 고수온으로 양식이 어렵지만 제주는 지하해수를 이용해 연중 사육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 현재 국내에서 시도되는 양식품종(내수면 포함)은 약 140종이지만, 산업적으로 양식이 되는 종은 광어, 조피볼락, 굴, 전복 등 일부 품종에 한정돼 있다.
❍ 특히 제주에서는 지난해 총 어류양식 생산량 2만 4,800톤 중 광어가 2만 3,400톤으로 94%를 차지해 사실상 단일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고형범 해양수산연구원장은 “최근 도내 양식업계에서 광어 이외의 양식품종 수요가 증가하는 실정”이라면서 “앞으로 새로운 품종 발굴 및 보급을 위해 시설확대와 연구인력 증원으로 제주 양식업의 품종 다양화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