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원장 김문관)은 도내 전복양식어가의 인력 저감을 위한 전복 육상수조 배양시설 세척용 자동청소기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 도내 전복양식장은 대부분 고령자 1~2명이 운영하는 소규모 형태로 운영되고 있으며, 전복 사육 수조를 청소하기 위해서는 무거운 청소 호수를 반복적으로 수조 위로 끌고 다녀야 하는 등 위험하고 고단한 작업들이 전복 생산성과 직결되면서 자동청소기의 개발 필요성이 지속 요구되어 왔다.
❍ 이에, 2017년부터 관련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GJ엔지니어링(대표 신경종)과 공동연구 협약을 맺고 연구에 착수했으며, 개발 시제품의 자동화에 따른 문제점 보완과 수회의 개선 과정을 거쳐 2가지 타입(규조 배양용, 양성용)의 자동청소기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 해양수산연구원은 장비의 유지관리가 용이하도록 수급이 원활한 부품(재료)의 적용에 주안점을 두었으며, 특히 여성 및 고령인 사용자를 고려한 조작의 단순화, 운행의 안전성에 초점을 맞췄다.
❑ 전복 육상수조 배양시설 세척용 자동청소기는 수조(폭 1.3m×길이 8m) 왕복주행 청소 시 2분 이내 시간이 소요되는 무한 반복이 가능한 반자동 형태이다.
❍ 또한, 수조의 깊이에 따라 청소 노즐 높이 조절 기능, 청소 용도(규조 또는 양성)에 따라 청소 노즐을 쉽게 교체할 수 있는 방식을 적용해 실용화를 높였다.
❍ 이어, 기계 작동 시 메인 조작 제어반 외에 유선 리모컨을 이동 대차에 설치, 청소 시 같이 이동하게 함으로써 기계 조작의 편리성을 확보했으며, 최초 설치 후 추가 확장이 가능토록 설계 제작됐다.
❍ 하지만, 자동시스템이 적용되려면 기본시설의 규격화(수조 형태, 크기 등) 및 기기 작동 시 장애물이 없어야 한다.
❍ 이에 따라, 도내 전복양식장의 각양각색의 수조 형태와 내부 기둥이 많은 하우스 형태에 대해서는 양식시설 개선사업 시 자동청소기가 보급될 수 있도록 관계 부서와 협의해 나갈 계획이다.
❑ 김문관 해양수산연구원장은 “양식현장으로 보급될 시 종사자의 노동 강도 저감과 사육관리 능률 향상으로 생산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