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시] 교잡교배에 의한 새로운 품종 개발 가능성 보인다!

해양수산연구원, 대왕자바리 인공수정란 생산 성공… 양식광어 대체품종으로 기대

대왕바리 대왕바리

❑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원장 김문관)은 고부가가치가 높고 토착 어종인 제주산 다금바리와 고수온기에 성장이 빠른 대왕바리 교잡을 통해 대왕자바리 인공수정란을 생산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 대왕자바리는 제주도를 대표하는 어종인 자바리(다금바리)와 100kg까지 성장이 가능한 대왕바리의 교잡을 통해 만들어진 새로운 품종으로, 수온 적응범위가 넓은 자바리와 성장이 빠른 대왕바리의 장점을 갖고 있다.

 

❍ 대왕자바리에 대한 양식기술 개발연구는 최근 몇 년간 국내외에서 다양하게 이뤄졌으나, 국내 자바리 자원감소와 아열대 해역에 주로 서식하는 대왕바리 어미 확보에 어려움이 많아 수정란 생산 기술이 확립되지 못하는 등 아직까지 산업적 양식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 이에 해양수산연구원은 지난 2018년에 대왕바리 20kg급 어미 40마리를 확보해 사육관리를 해 오면서 성호르몬 투여를 통해 암컷을 수컷으로 전환하는 웅성화(성 전환) 유도에 성공해 정자를 얻었고, 기존 보유하고 있던 자바리 암컷에서 난을 확보해 수정란 생산에 성공했다.

 

* 대왕바리 포함 바리과 어류는 “자성선숙형 자웅동체”로 모든 개체가 암컷으로 태어나 일부개체가 수컷으로 성전환되기 때문에 수컷확보가 어려움

 

❍ 향후 해양수산연구원에서는 치어 생산 단계를 거쳐 출하크기(2kg급 전후)까지 수온별 성장실험을 진행하면서 양식 경제성 분석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 김문관 해양수산연구원장은 “대왕자바리가 새로운 양식품종으로 도입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인공종자 생산과 양식이 가능해야 하기에 인공 수정란 확보, 종자생산 및 양식방법 등에 대한 기술을 확립시켜 광어에 의존하고 있는 제주 양식산업을 다품종화 하는데 기여해 나가도록 노력 하겠다”라고 밝혔다.

 

 

교잡교배에 의한 새로운 품종 개발 가능성 보인다!
교잡교배에 의한 새로운 품종 개발 가능성 보인다!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목록으로

인기 뉴스

최근 7일 기준 인기뉴스

 

담당부서
해양수산연구원 해양수산자원과
담당자
공포
연락처
064-710-8485
Q.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만족도 조사

맞춤메뉴 설정

메뉴바로가기

제주특별자치도청 및 도청 산하 홈페이지들의 메뉴 바로가기를 설정합니다.
로그인 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10개까지만 추가 가능합니다.
* 로그인을 하시면 각 메뉴 페이지에서 바로 메뉴바로가기를 추가 하실 수 있습니다.

      저장하기 설정 초기화 설정 초기화

      맞춤메뉴 닫기

      맞춤알림 설정

      알림설정하기

      제주특별자치도청 및 도청 산하 홈페이지들의 정보 알림을 설정합니다.
      선택하신 메뉴에 정보가 업데이트되면 알림톡, 문자(SMS)으로 안내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1. 카카오톡을 이용하시는 회원님의 경우 알림톡 서비스가 기본적으로 제공됩니다.
      2. 카카오톡 미설치, 알림톡 차단 회원님은 문자(SMS)를 통해 안내가 전송됩니다.

      로그인 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로그인 비회원 로그인

      맞춤알림 닫기

      추천정보

      게시물 (최근 7일 기준)

      최신등록 및 업데이트 메뉴

      추천정보 닫기

      오늘의 방송일정을 확인하세요.

      2025. 05. 01

       

      오늘의 생중계 일정이 없습니다

      생방송 목록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