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례] 홍해삼, 서식적지 집중 방류로 자원조성 극대화

해양수산연구원, 종자 27만 마리 방류로 홍해삼 서식처 조성

종자방류 종자방류

■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원장 김문관)은 수산생물 서식처 보전을 위해 홍해삼 종자 27만 마리를 오는 18일부터 24일까지 도내 7개 마을 어장에 집중 방류할 계획이다.

 

■ 특히 주요 서식처로 꼽히는 우도 홍해삼 양식지에 대해 종자 12만 마리를 집중 방류해 자원 조성의 효과성을 분석할 예정이다.

 

 ❍ 제주의 대표적인 특산품종인 홍해삼의 마을어장 생산량은 2006년 방류사업을 시작한 이래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07년 38톤에서 2017년에는 106톤, 2018년 100톤의 생산량을 보이고 있으며 최근 홍해삼 생산량이 다소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나 이는 자원량의 감소이기 보다는 소비시장의 위축으로 인한 산지 출하량 감소, 고령 해녀의 증가 등으로 인한 어획 강도가 점차 낮아지는데 따른 원인으로 추정된다.

 ※ 70세 이상 고령해녀 증가(노령화) :‘15년 53.5% →‘18년 59.7%

 ※ 해녀수 :‘15년 4,377명 →‘18년 3,962명(9.5% 감소)

 

■ 이에 해양수산연구원은 홍해삼 산업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소비자에게 연중 공급이 가능하도록 가공 및 축양기술 개선연구를 진행 중이다.

 

■ 더불어 자원관리 효과를 높이기 위해 종자 방류 전 사전 적지조사, 방류기법 개선연구, 어장 사후관리 및 방류효과 조사 등 자원조성 효과 극대화를 위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 중이다.

 

 ❍ 또한, 2020년부터는 여름철 고수온기에 홍해삼이 하면을 하거나 개체성장이 늦어지는 생물학적 특성으로 인해 양성 관리가 어려워 완전 양식에 어려움을 겪음에 따라 생물학적 하면억제 연구, 육상수조 내 양성기술 개발 및 바다양식 연구를 집중 진행할 계획이다.

 

■ 김문관 해양수산연구원장은 “홍해삼, 오분자기 등 제주바다의 주요 특산 수산물들에 대한 적극적인 자원 관리로 마을어업의 소득 창출과 어업인 소득 향상에 기여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홍해삼, 서식적지 집중 방류로 자원조성 극대화
홍해삼, 서식적지 집중 방류로 자원조성 극대화
홍해삼, 서식적지 집중 방류로 자원조성 극대화
홍해삼, 서식적지 집중 방류로 자원조성 극대화
홍해삼, 서식적지 집중 방류로 자원조성 극대화
홍해삼, 서식적지 집중 방류로 자원조성 극대화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목록으로

인기 뉴스

최근 7일 기준 인기뉴스

 

담당부서
해양수산연구원 해양수산자원과
담당자
공포
연락처
064-710-8485
Q.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만족도 조사

맞춤메뉴 설정

메뉴바로가기

제주특별자치도청 및 도청 산하 홈페이지들의 메뉴 바로가기를 설정합니다.
로그인 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10개까지만 추가 가능합니다.
* 로그인을 하시면 각 메뉴 페이지에서 바로 메뉴바로가기를 추가 하실 수 있습니다.

      저장하기 설정 초기화 설정 초기화

      맞춤메뉴 닫기

      맞춤알림 설정

      알림설정하기

      제주특별자치도청 및 도청 산하 홈페이지들의 정보 알림을 설정합니다.
      선택하신 메뉴에 정보가 업데이트되면 알림톡, 문자(SMS)으로 안내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1. 카카오톡을 이용하시는 회원님의 경우 알림톡 서비스가 기본적으로 제공됩니다.
      2. 카카오톡 미설치, 알림톡 차단 회원님은 문자(SMS)를 통해 안내가 전송됩니다.

      로그인 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로그인 비회원 로그인

      맞춤알림 닫기

      추천정보

      게시물 (최근 7일 기준)

      최신등록 및 업데이트 메뉴

      추천정보 닫기

      오늘의 방송일정을 확인하세요.

      2025. 05. 01

       

      오늘의 생중계 일정이 없습니다

      생방송 목록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