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시] 명품어종 다금바리, 방류 효과 규명 착수

도 해양수산연구원, 최첨단 유전자 분석 기법인 친자확인 통해 방류효과 조사

다금바리 다금바리

■ 제주특별자치도가 유전자 분석 기법을 통해 다금바리 방류 효과 입증에 나선다.

 

■ 도 해양수산연구원(원장 김문관)은 지난 2007년부터 방류 중인다금바리(자바리)의 효과 규명을 한국수산자원공단(이사장 신현석)과 공동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 해양수산연구원은 한국수산자원공단과 지난 2017년 공동연구 협약을 체결하고, 유전자 분석(친자확인)에 의한 방류효과 조사를 도모해왔다.

 

❍ 어미의 유전적 정보를 이용해 말 쥐치의 방류효과를 조사한 결과 보통 2%대의 회수율이 4%대까지 나타나며 정량적 방류 효과 산정이 가능해지며 친자확인의 유효성이 입증된 바 있다.

 

■ 이에 도 해양수산연구원은 자바리에 대한 방류효과 조사를 위해 지난해부터 어미에 개체 인식용 전자태그(RFID)를 삽입해 유전적 다양성이 확보된 건강한 종자를 생산해 방류하고 있다. 앞으로는 도내에서 어획되는 개체들을 대상으로 친자 확인을 통해 효과를 분석할 계획이다.

 

■ 김문관 해양수산연구원장은“사라져가는 어족자원 회복을 위해 자바리 뿐만 아니라 붉바리 등 특산어종의 인공종자 생산기술을 확립하고 소득화 될 수 있는 방류사업이 이뤄지도록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조사시스템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명품어종 다금바리, 방류 효과 규명 착수

문의처| 064-710-8481 / 해양수산자원과

조회| 538

작성일| 2019-11-19 10:02:20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목록으로

인기 뉴스

최근 7일 기준 인기뉴스

 

담당부서
해양수산연구원 해양수산자원과
담당자
공포
연락처
064-710-8485
Q.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만족도 조사

맞춤메뉴 설정

메뉴바로가기

제주특별자치도청 및 도청 산하 홈페이지들의 메뉴 바로가기를 설정합니다.
로그인 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10개까지만 추가 가능합니다.
* 로그인을 하시면 각 메뉴 페이지에서 바로 메뉴바로가기를 추가 하실 수 있습니다.

      저장하기 설정 초기화 설정 초기화

      맞춤메뉴 닫기

      맞춤알림 설정

      알림설정하기

      제주특별자치도청 및 도청 산하 홈페이지들의 정보 알림을 설정합니다.
      선택하신 메뉴에 정보가 업데이트되면 알림톡, 문자(SMS)으로 안내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1. 카카오톡을 이용하시는 회원님의 경우 알림톡 서비스가 기본적으로 제공됩니다.
      2. 카카오톡 미설치, 알림톡 차단 회원님은 문자(SMS)를 통해 안내가 전송됩니다.

      로그인 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로그인 비회원 로그인

      맞춤알림 닫기

      추천정보

      게시물 (최근 7일 기준)

      최신등록 및 업데이트 메뉴

      추천정보 닫기

      오늘의 방송일정을 확인하세요.

      2025. 05. 01

       

      오늘의 생중계 일정이 없습니다

      생방송 목록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