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원장 김문관)은 제주대학교와 공동으로 광어 양식현장에서 치어 입식 시기에 암수를 판별할 수 있는 「암수판별용 진단 키트」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 광어 암컷 종자는 수컷에 비해 약 30% 이상 성장률이 빠르기 때문에 제주지역 양식생산자 단체에서는 치어 단계에서부터 암수를 쉽게 구분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을 요구해왔다.
■ 이에 해양수산연구원은 제주대와 함께 효소의 유전정보(아로마타아제 효소의 mRNA<전사체>)를 단시간 내에 측정해 광어의 암수비율을 현장에서 확인할 수 있는 진단기법을 개발했다.
❍ 이번에 개발한 기술을 통해 시료채취에서 결과분석까지 수일이 걸리는 기존의 진단과 달리 세 시간 정도면 현장에서 신속하게 성 판별이 가능해졌다.
❍ 동온 증폭법(LAMP)*을 활용한 마커 개발과 유전자 진단이 가능한 휴대용 기기 개발이 간편한 진단을 가능케 했다.
* LAMP : 사슬치환 반응을 이용하여 유전자를 증폭시키는 방법
❍ 특히 고수온 시기에 생산되는 광어 종자는 대부분 수컷일 확률이 높아 경제적 손실 발생 우려가 있었으나, 이번 진단키트 도입으로 양식 어가의 생산성 향상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 개발 후 가진 현장 시연에서도 암컷 위주의 종자 비율을 실제로 확인함으로써 실용성이 크고, 시약의 색상 변화만으로도 진단 결과를 확인할 수 있어 양식업계 관계자들의 긍정적인 평가를 얻은 것으로 알려졌다.
■ 앞으로 해양수산연구원에서는 양식어가에서 치어 입식 시 광어 암수판별 서비스 등을 제공해 효율적인 광어 생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도할 계획이다.
❍ 오는 12월말까지 본 제품을 출시한 뒤, 내년 1월부터는 희망하는 양식어가에서 실제 분석을 통해 암수 판별 서비스를 지원할 방침이다.
❍ 김문관 해양수산연구원장은 “최근 양식 광어 가격 하락 등으로 경영에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에서 암컷 위주의 양식이 가능해져 양식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생산원가 절감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