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례] 순환여과 방식 ‘광어 실증시험’ 추진

해양수산연구원, 순환여과 양식시스템 통해 연안환경 변화에 적극 대응

해양수산연구원 해양수산연구원

■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원장 김문관)은 순환여과방식의 양식시스템을 활용해 ‘광어 실증시험’을 추진, 각종 어류질병으로 인한 폐사량 급증에 대처할 계획이라고 9일 밝혔다.

 

 ❍ 순환여과 양식시스템은 사육수를 물리적·화학적·생물학적 수처리 장치를 통해 살균·정화시켜 재사용하는 방식으로,

 

  - 기존 자연해수를 직접 수조로 끌어들여 사용(유수식 양식시스템)하는 방식에 비해 연안환경 변화에 대응이 가능하다.

 

  - 순환여과 양식시스템은 스페인(터봇), 덴마크(연어, 송어), 칠레(연어) 등에서 다양한 품종에 적용하고 있다.

 

■ 해양수산연구원은 지난 2015년 설치한 순환여과 양식시스템을 활용해 일반 광어양식장(유수식 양식시스템)과 비교 실험을 통해 광어 양식의 경제성 평가를 추진할 계획이다.

 

 ❍ 조사항목으로는 입식 밀도별 성장률, 폐사율, 질병발생 동향 및 시설 운영에 따른 양식 경영분석 등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 해양수산연구원은 2017년 순환여과 양식시스템을 활용해 다금바리와 능성어 치어(20~50g)를 수조당 각 500마리씩 입식해, 상품성이 있는 1kg까지 성장(20개월 소요)시켜 바리과 어류의 양식 가능성을 제시한 바 있다.

  ※ 유수식 양식에서 바리과 어류 평균 1㎏ 성장까지 약 36개월 소요

 

■ 김문관 해양수산연구원장은 “광어양식에 있어 순환여과 시스템을 통한 폐사율 저감 효과 등 실증적 검증이 필요한 시기”라면서, “앞으로 순환여과 시스템에 대한 체계적 운영 방법과 다양한 품종에 대한 산업적 적용이 가능하도록 경제성 평가를 통해 제주 양식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해 나가겠다고”밝혔다.

문의처| 064-710-8484 / 해양수산자원과

조회| 1,363

작성일| 2019-04-09 09:49:10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목록으로

인기 뉴스

최근 7일 기준 인기뉴스

 

담당부서
해양수산연구원 해양수산자원과
담당자
공포
연락처
064-710-8485
Q.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만족도 조사

맞춤메뉴 설정

메뉴바로가기

제주특별자치도청 및 도청 산하 홈페이지들의 메뉴 바로가기를 설정합니다.
로그인 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10개까지만 추가 가능합니다.
* 로그인을 하시면 각 메뉴 페이지에서 바로 메뉴바로가기를 추가 하실 수 있습니다.

      저장하기 설정 초기화 설정 초기화

      맞춤메뉴 닫기

      맞춤알림 설정

      알림설정하기

      제주특별자치도청 및 도청 산하 홈페이지들의 정보 알림을 설정합니다.
      선택하신 메뉴에 정보가 업데이트되면 알림톡, 문자(SMS)으로 안내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1. 카카오톡을 이용하시는 회원님의 경우 알림톡 서비스가 기본적으로 제공됩니다.
      2. 카카오톡 미설치, 알림톡 차단 회원님은 문자(SMS)를 통해 안내가 전송됩니다.

      로그인 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로그인 비회원 로그인

      맞춤알림 닫기

      추천정보

      게시물 (최근 7일 기준)

      최신등록 및 업데이트 메뉴

      추천정보 닫기

      오늘의 방송일정을 확인하세요.

      2025. 05. 01

       

      오늘의 생중계 일정이 없습니다

      생방송 목록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