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지역 광어 양식장에서 정보통신(IT) 기술을 접목한 암수 판별기가 도입될 전망이다.
❑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원장 김문관)은 제주대학교와 공동으로 광어 치어 입식시기에 암컷과 수컷을 효율적으로 판별할 수 있는 「암·수 판별용 진단 키트」를 본격적으로 개발한다고 밝혔다.
❍ 광어 암컷 종자는 수컷에 비해 약 30% 이상 성장률이 빠르기 때문에 어업인들은 암컷 위주의 양식을 선호한다. 광어 양식 시 수컷의 비율이 높으면 사육 경영비의 증가, 생산성 저하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 고수온 시기에 생산되는 어류 종자는 수컷의 비율이 높은데다가, 특히 광어는 종묘 단계에서 육안으로 암수 구별이 쉽지 않아 그동안 선별 입식하는 것이 불가능했다.
❍ 암·수를 선별하지 않고 사육할 경우 생산성이 떨어져 경제적 손실이 발생함에 따라, 제주지역 양식 생산자 단체에서는 수컷보다 성장이 빠른 암컷을 치어 단계에서 구분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 대한 요구가 제기돼왔다.
❍ 이에 해양수산연구원은 제주대학교와 함께 광어 암컷 종자에 발현되는 성 호르몬 유전자를 검출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을 통해 현장에서 신속하게 성 판별이 가능하도록 할 계획이다.
❑ 현재 광어 샘플을 해부해 조직 검사를 시행 중이다.
❍ 도에서는 마커와 기기 개발을 완료해 올해 내로 양식 현장에서 시연하겠다는 계획이다.
❑ 최근 양식 광어 가격 하락 등으로 경영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에서 암수 판별 기기가 보급되면 암컷 위주의 양식이 가능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양식경비 절감을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김문관 해양수산연구원장은 “IT기술을 접목한 광어 암수 판별기는 광어 양식 현장의 애로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추진되는 것”이라며 “치어시기 성 판별을 통해 양식 어가 경영 안정화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