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례] IT 기술 접목한 광어 암·수 판별기 본격 개발

치어시기 성 판별로 제주 광어 생산성 향상, 경영비 절감 유도한다

광어 종자 광어 종자

❑ 제주지역 광어 양식장에서 정보통신(IT) 기술을 접목한 암수 판별기가 도입될 전망이다.

 

❑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원장 김문관)은 제주대학교와 공동으로 광어 치어 입식시기에 암컷과 수컷을 효율적으로 판별할 수 있는 「암·수 판별용 진단 키트」를 본격적으로 개발한다고 밝혔다.

 

❍ 광어 암컷 종자는 수컷에 비해 약 30% 이상 성장률이 빠르기 때문에 어업인들은 암컷 위주의 양식을 선호한다. 광어 양식 시 수컷의 비율이 높으면 사육 경영비의 증가, 생산성 저하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 고수온 시기에 생산되는 어류 종자는 수컷의 비율이 높은데다가, 특히 광어는 종묘 단계에서 육안으로 암수 구별이 쉽지 않아 그동안 선별 입식하는 것이 불가능했다.

 

❍ 암·수를 선별하지 않고 사육할 경우 생산성이 떨어져 경제적 손실이 발생함에 따라, 제주지역 양식 생산자 단체에서는 수컷보다 성장이 빠른 암컷을 치어 단계에서 구분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 대한 요구가 제기돼왔다.

 

❍ 이에 해양수산연구원은 제주대학교와 함께 광어 암컷 종자에 발현되는 성 호르몬 유전자를 검출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을 통해 현장에서 신속하게 성 판별이 가능하도록 할 계획이다.

 

❑ 현재 광어 샘플을 해부해 조직 검사를 시행 중이다.

 

❍ 도에서는 마커와 기기 개발을 완료해 올해 내로 양식 현장에서 시연하겠다는 계획이다.

 

❑ 최근 양식 광어 가격 하락 등으로 경영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에서 암수 판별 기기가 보급되면 암컷 위주의 양식이 가능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양식경비 절감을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김문관 해양수산연구원장은 “IT기술을 접목한 광어 암수 판별기는 광어 양식 현장의 애로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추진되는 것”이라며 “치어시기 성 판별을 통해 양식 어가 경영 안정화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IT 기술 접목한 광어 암·수 판별기 본격 개발

문의처| 064-710-8484 / 해양수산자원과

조회| 736

작성일| 2019-05-13 09:55:05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목록으로

인기 뉴스

최근 7일 기준 인기뉴스

 

담당부서
해양수산연구원 해양수산자원과
담당자
공포
연락처
064-710-8485
Q.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만족도 조사

맞춤메뉴 설정

메뉴바로가기

제주특별자치도청 및 도청 산하 홈페이지들의 메뉴 바로가기를 설정합니다.
로그인 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10개까지만 추가 가능합니다.
* 로그인을 하시면 각 메뉴 페이지에서 바로 메뉴바로가기를 추가 하실 수 있습니다.

      저장하기 설정 초기화 설정 초기화

      맞춤메뉴 닫기

      맞춤알림 설정

      알림설정하기

      제주특별자치도청 및 도청 산하 홈페이지들의 정보 알림을 설정합니다.
      선택하신 메뉴에 정보가 업데이트되면 알림톡, 문자(SMS)으로 안내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1. 카카오톡을 이용하시는 회원님의 경우 알림톡 서비스가 기본적으로 제공됩니다.
      2. 카카오톡 미설치, 알림톡 차단 회원님은 문자(SMS)를 통해 안내가 전송됩니다.

      로그인 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로그인 비회원 로그인

      맞춤알림 닫기

      추천정보

      게시물 (최근 7일 기준)

      최신등록 및 업데이트 메뉴

      추천정보 닫기

      오늘의 방송일정을 확인하세요.

      2025. 05. 01

       

      오늘의 생중계 일정이 없습니다

      생방송 목록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