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원장 김문관)은 중국 양자강 유출량이 평년보다 증가한 초당 47,000톤을 초과함에 따른 대비책 강화에 나섰다.
❍ 해양수산연구원은 중국 양자강 하구 대통(大通) 지역 유출량을 모니터링한 결과, 6월20일 기준 유출량이 평년 초당 37,000톤 대비 약 20% 증가했고*, 고수온‧저염분수**가 유입됐던 2016년 48,000톤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고 밝혔다.
*출처 : 중국 장강수문국
**고수온 : 28℃이상, 저염분 : 26psu이하(psu: 실용염분단위)
❍ 이는 6월 중순부터 중국 남부 장마전선 영향으로 집중호우가 발생해 양자강 유출량이 지속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올해는 우리나라 연안 표층수온이 평년에 비해 1℃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저염분수가 주로 유입되는 7월 하순경에 고수온을 동반한 유입이 예측되고 있다.
*출처 : 국립수산과학원
이에 해양수산연구원은 고수온・저염분수 유입대비 비상상황반을 편성해 서부 연근해 예찰 조사를 추진하는 한편, 제주대학교・국립수산과학원・한국해양과학기술원과 공동으로 저염분수 이동경로를 분석해 유입상황을 수시 예보할 방침이다.
❍ 고수온・저염분수는 주로 중국 양자강 하구에서부터 제주 서부해역으로 유입된다.
또한 올해부터는 광역 무인 해양관측장비(Wave Glider)를 도입해 사전 감시체계를 강화하고, 신속한 정보제공을 위해 차귀도 연안 및 표선해역에 실시간 해양관측 부이를 설치해 연구원 홈페이지와 SMS를 통해 해양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