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원장 김문관)에서는 국내 최초로 고부가가치 어종인 자바리(다금바리), 능성어(구문쟁이), 붉바리 10만마리를 대량으로 종자 생산하여 어업인 및 유관기관과 공동으로 제주연안 어장에 방류(9~10월)한다고 밝혔다.
❍ 지금까지 다금바리 종자생산은 생산초기 감모에 의한 대량생산에 한계가 있었으나, 다년간의 먹이계열 및 수질관리 등 감모 억제 연구를 통해 금년도부터 안정적인 생산체제를 구축할 수 있게 되었다.
■ 이번 방류되는 다금바리, 붉바리, 능성어 종자는 해양수산연구원에서 수년간 관리된 우량 어미로부터 금년 5월에 인공수정을 거쳐 자원 방류 가능한 크기(5㎝이상)까지 90일 이상 육상수조에서 사육한 것으로 9월에는 다금바리와 능성어 6만마리, 10월에는 다금바리와 붉바리 4만마리를 방류할 계획이다.
❍ 방류해역은 다금바리 등 바리과 어종의 서식 생태특성을 감안하여 굴곡암반이 넓고 어초어장이 잘 조성되어진 바다목장 해역과 다금바리 주 서식지인 모슬포 해역에 방류할 계획으로
❍ 모슬포 해역에서의 다금바리 어획량은 2014년 1.4톤에서 2016년 6.9톤, 2017년에는 13.1톤으로 10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지속적인 방류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이번 방류되는 다금바리는 3년 후 1kg 이상으로 성장하여 어업인 소득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김문관 해양수산연구원장은 앞으로 “다금바리 등 고급 향토 어종에 대한 대량양산 체계를 확립하고 지속적인 자원방류를 통해 어업인 소득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 방 류 계 획 >
(단위 : 천마리)
방류일시 |
방류종 |
방류량 |
방 류 장 소 |
방류방법 |
9/6 |
다금바리 |
30 |
고성·신양 바다목장 해역 |
연안방류 |
9/7 |
능성어 |
30 |
차귀도 바다목장 해역 |
선상방류 |
9/18 |
말쥐치 |
50 |
표선 연안해역 |
중간육성 가두리 해체 |
10/12 |
다금바리 |
30 |
모슬포 연안해역 |
연안방류 |
붉바리 |
1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