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시] 바다적응훈련 마친 말쥐치 종자 5만 마리 방류!

말쥐치 종자 5만마리 제주 연안어장에 방류한다

해양수산연구원 말쥐치 방류 해양수산연구원 말쥐치 방류

□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원장 김문관)에서는 바다적응을 위해 해상가두리에서 3주간 중간육성훈련을 마친 말쥐치 종자 5만 마리를 표선 연안어장에 방류(9/21)한다고 밝혔다.

❍ 어류 인공종자의 바다적응훈련은 방류 후 자연으로 나간 종자들이 자연환경에 대한 적응능력(먹이공격능력)을 키우고 생존율을 높여 방류 효과를 극대화하는 데 있다.

❍ 돌돔을 대상으로 바다적응훈련을 실시한 결과, 생존율이 96% 이상 나타난 바 있으며 실내 사육어에 비해 야성화 경향이 강해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 이번 바다적응훈련을 위한 중간육성은, 해상가두리(5××5×3m)에 집어등을 설치하여 야간에 불빛에 유집된 동물플랑크톤을 말쥐치가 잡아먹어 자연먹이에 적응하도록 하였다.

❍ 바다적응을 위한 먹이조절 및 점등에 의한 자연먹이 섭이능력 배양은 입식 후 2주간 점차 인위적으로 공급되는 사료량이 감소하여 3주째는 사료를 공급하지 않았고, 야간 10시부터 11시까지는 집어등을 점등시켜 동물플랑크톤을 유집 후 먹이공격 능력을 향상시켰다.

❍ 해상가두리에서의 적응 여부는 개체들의 위 내용물 조사를 통해 확인하였고, 입식 2주 후부터 요각류 등의 동물플랑크톤을 활발히 섭식하고 있었으며 중간육성 훈련기간 중 폐사는 5% 미만을 나타내었다.

 

□ 한편, 말쥐치는 80년대 국내에서 연간 20~30만 톤이 어획되어 단일종으로는 최고의 어획량을 기록하는 등 자원이 풍부했으나, 90년대 들어 남획과 환경변화로 자원이 고갈돼 현재는 연간 2천 톤 내외의 어획량을 나타내 자원 회복이 시급한 상황이다.

※ <국내 말쥐치 어획량> 1986년 : 327,516톤 → 2017년 : 1,726톤

 

□ 김문관 해양수산연구원장은 앞으로“어류 인공종자의 방류효과 향상을 위해 바다적응훈련을 거쳐 방류하여 어업인 소득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바다적응훈련 마친 말쥐치 종자 5만 마리 방류!
바다적응훈련 마친 말쥐치 종자 5만 마리 방류!
바다적응훈련 마친 말쥐치 종자 5만 마리 방류!
바다적응훈련 마친 말쥐치 종자 5만 마리 방류!
바다적응훈련 마친 말쥐치 종자 5만 마리 방류!
바다적응훈련 마친 말쥐치 종자 5만 마리 방류!
바다적응훈련 마친 말쥐치 종자 5만 마리 방류!
바다적응훈련 마친 말쥐치 종자 5만 마리 방류!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목록으로

인기 뉴스

최근 7일 기준 인기뉴스

 

담당부서
해양수산연구원 해양수산자원과
담당자
공포
연락처
064-710-8485
Q.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만족도 조사

맞춤메뉴 설정

메뉴바로가기

제주특별자치도청 및 도청 산하 홈페이지들의 메뉴 바로가기를 설정합니다.
로그인 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10개까지만 추가 가능합니다.
* 로그인을 하시면 각 메뉴 페이지에서 바로 메뉴바로가기를 추가 하실 수 있습니다.

      저장하기 설정 초기화 설정 초기화

      맞춤메뉴 닫기

      맞춤알림 설정

      알림설정하기

      제주특별자치도청 및 도청 산하 홈페이지들의 정보 알림을 설정합니다.
      선택하신 메뉴에 정보가 업데이트되면 알림톡, 문자(SMS)으로 안내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1. 카카오톡을 이용하시는 회원님의 경우 알림톡 서비스가 기본적으로 제공됩니다.
      2. 카카오톡 미설치, 알림톡 차단 회원님은 문자(SMS)를 통해 안내가 전송됩니다.

      로그인 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로그인 비회원 로그인

      맞춤알림 닫기

      추천정보

      게시물 (최근 7일 기준)

      최신등록 및 업데이트 메뉴

      추천정보 닫기

      오늘의 방송일정을 확인하세요.

      2025. 05. 01

       

      오늘의 생중계 일정이 없습니다

      생방송 목록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