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원장 김문관)은 가을철 양식용 종자 입식시기로 접어듦에 따라 입식 전 방역 검사 지도 및 수산종자 입식 양식장에 대한 지도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제주에서는 2006년도부터 도내 양식장에 수산종자 입식전에 전염병 검사를 한 후 무감염 종자에 대해 입식하도록 하는 방역검사 조례를 제정하여 검사를 수행해 오고 있다.
❍ 연간 약 1억 마리 내외의 광어 치어가 입식되고 있으며, 지난달까지 방역검사 신청건수 210건(6천6백만마리)에 대하여 검사가 이루어져 있으며 검사결과 전염병 검출 사례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방역 검사 사항을 기준으로 보면 도외산 종자가 1천900만마리, 도내생산 종자가 4천700만마리로 집계되고 있으며 도외산 종자의 경우에는 전남과 충남지역 종자가 가장 많았다.
❍ 해산 어류에 피해를 입히는 주요 전염병은 참돔이리도바이러스병과 바이러스성출혈성패혈증으로 알려져 있는데, 광어의 경우에는 바이러스성출혈성패혈증에 대한 피해가 많으며 이 병은 수온이 낮은 겨울에서 봄철에 주로 발생한다.
❍ 이에 따라 연구원에서는 가을 이후 수산 종자 입식 양식장을 대상으로 방역 관리 및 위생 관리 지도를 강화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 한편 연구원에서는 서부지역 등 원거리 지역 양식장의 질병검사 지도에 대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지난 8월 「서부수산기술센터」를 개소하여 운영 중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