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원장 현재민)이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에 대응해 수산물 방사능 검사를 강화한다. 기존 감마․베타핵종 방사능 분석기에 더해 알파핵종 방사능 검사장비를 추가로 확충할 계획이다.
* 알파핵종: 플루토늄(238-240Pu), 감마핵종: 세슘(134+137Cs)·요오드(131I), 베타핵종: 삼중수소(3H)
해양수산연구원은 2019년부터 2024년까지 약 9억원을 투입해 감마핵종 분석기 2대와 베타핵종 분석기 1대를 설치해 수산물 방사능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 2025년에는 해양수산부 유해물질 안전관리강화 사업의 일환으로 총 7억원(국·도비 각 50%)을 투입해 플루토늄 분석이 가능한 알파핵종 분석기 1대와 삼중수소 분석용 베타핵종 분석기 1대를 추가 구축한다.
❍ 새롭게 도입되는 알파핵종 분석기로 검사할 플루토늄(238-240Pu)은 원자력 발전소 사고나 핵실험으로 인한 식품 오염의 대표적 지표로, 해양수산연구원은 식약처 공인시험법과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 기준으로 관리할 예정이다.
* 플루토늄 식품안전관리기준(CODEX) : 10 Bq/kg 이하(기타식품), 1 Bq/kg 이하(영유아)
현재 해양수산연구원은 도내 수협 위판장과 양식장, 마을어장에서 수시로 수산물을 수거해 요오드(131I)와 세슘(134+137Cs), 삼중수소(3H)를 검사하고 있다. 검사 어종도 2022년 11품종에서 현재 34품종으로 대폭 확대했다.
* (‘22년) 11품종, 81건 ⇒ (‘24년) 34품종, 319건
❍ 지금까지 실시한 제주산 수산물 방사능 검사에서는 모든 시료에서 요오드와 세슘, 삼중수소는 검출되지 않았다. 검사 결과는 도청과 연구원 누리집을 통해 매일 공개하고 있다.
* 도청(https://www.jeju.go.kr/farm/info/list.htm)
* 해양수산연구원(http://www.jeju.go.kr/jori/index.htm)
현재민 제주도 해양수산연구원장은 “추가 핵종 검사시스템 구축으로 제주산 수산물 조사‧분석의 신뢰성과 전문성이 한층 강화될 것”이라 “도민의 건강과 안전을 최우선에 두고 제주 수산물 안전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