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원장 강봉조)은 17일 다금바리, 구문쟁이, 붉바리 등 바리과 어류 종자 2만여 마리를 제주 연안 자원조성을 위해 방류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방류한 종자는 연구원에서 직접 수정란을 생산한 뒤 약 120일간의 종자 생산 과정을 거쳐 건강하게 길러낸 개체로, 방류 지역은 바리과 어류 주요 서식지로 알려진 사계리 연안이다.
○바리과 어류는 제주 연안의 대표 고급 횟감으로 고수온 적응력이 높으며, 동부의 김녕리 해역과 서부의 상·하모리·사계리 등지에서 주로 어획된다.
○방류된 개체는 2~3년 후 1kg 전후로 성장해 어획이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되며, 어선어업인의 소득 증대에도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해양수산연구원은 올해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고수온 적응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오분자기 6만 마리를 마을어장 2개소에 방류하는 등 지속적인 자원조성 연구를 이어오고 있다.
○또한 자바리 등 4개 품목 어류 수정란 4,300만 개를 민간 양식장 19개소에 분양해 민간 방류사업도 지원하고 있다.
□강봉조 해양수산연구원장은 “제주 바다의 생태적 건강성을 회복하고 연안 수산자원 증대를 위해 제주 특산 수산종자 방류를 지속해 오고 있다”며 “기후변화에 대응한 수산자원 관리 연구에도 더욱 힘쓰겠다”고 말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