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특별자치도는 올해 농업·농촌, 식품·축산 분야에 총 2,390억 원*을 투입해 농업·농촌 활력, 먹거리 체계구축, 유통혁신에 나선다고 밝혔다.
* 일반회계 1,897억 원, 지역농어촌진흥기금 445억 원, 밭작물 수급가격 안정 기금 48억 원
제주도는 농축산식품분야 정책 목표인 ‘제주농업 변화·혁신으로 농촌경제 활력화’를 위해 4대 전략과제 및 16개 실행계획을 추진할 예정이다.
? 지속가능한 농업·농촌 발전체계 구축을 위해 1,366억 원을 투자한다.
❍ 여성농업인 행복이용권 확대 지원, 제주형 사회적 농업 추진 등 총 564억 원, 지역농어촌진흥기금 일반융자 및 재해 특별융자 이차보전에 401억 원을 투입하여 농업인의 삶의 질 향상과 농업·농촌의 지속 가능한 발전 체계를 구축한다.
❍ 또한, 친환경농자재 공급, 친환경 농산물 소비 촉진 및 물류·유통 사업, 맞춤형 친환경 학교급식 및 비인가 대안학교 급식 지원에 총 82억 원을 투자하여 청정과 공존을 위한 친환경농업을 육성한다.
❍ 이와 함께, 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인력중개센터 지원 사업, 청년농업인 창업 인큐베이팅 사업, 농작물재해보험 지원, 도 농업용수 광역화 사업 등 총 319억 원을 투자하여 농가 고령화에 따른 인력난 해소 및 기후변화에 대응한 안정적 영농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다.
? 농산물 유통혁신과 수급 안정을 위해 373억 원을 투자한다.
❍ 농업 융·복합산업을 통한 농업의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식품산업인프라 구축 및 6차산업 활성화 지원, 농촌 융복합산업 활성화를 위한 청년 일자리 사업 및 지역특성화 산업 육성 등 총 26억 원을 투자한다.
❍ 제주 밭작물 토양생태환경 보전사업, 채소가격안정제사업, 제주형 농산물 가격안정관리제 사업 등 총 141억 원을 투자하여 월동채소류 자율적 수급 협력 강화와 농산물 가격안정화를 도모한다.
❍ 고령화 대응 농협 협력 농작업 기계화 지원, 보리생산 수매가 차액 보전사업 등 총 108억 원을 투자하여 중소농·소규모 농업인 소득과 농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예정이다.
❍ 농산물 가공 인프라 구축과 제주산 농산물 출하처 다변화를 위해 채소류 출하조절 시설지원, 농산물 유통 경쟁력 강화 지원 등 총 98억 원이 투입된다.
? 제주경제 도약을 견인하는 감귤산업 재성장 동력화를 위해 511억 원을 투자한다.
❍ 감귤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FTA기금사업은 5개 분야 ·285억 원(국비 106, 지방비 179)으로 고품질감귤 생산시설현대화, 과실 전문생산 단지 기반 조성, 거점 APC시설 보완 등에 투자한다.
- 특히, 고품질감귤 생산시설현대화 사업은 전국 FTA기금(국비) 299억 원 중 29%에 해당하는 87억 원을 확보해 전국에서 기금 배정액이 가장 많았다.
❍ 감귤원 1/2간벌 등 고품질 감귤의 안정생산기반 구축사업은 20개 세부 사업·39억 원이 투자되고, 소비자 구매패턴 변화에 따라 당도 선별 및 선과 시설 현대화사업 등에 14개 사업·52억 원이 투자된다.
❍ 얼어붙은 과일 시장의 소비 촉진을 위해 홍보&마케팅 활동, 풋귤 틈새시장 공략 및 가공산업 육성을 위해 8개 사업·65억 원이 투자된다.
❍ 기후변화 대응 기타과수 생산기반조성 및 우수품종 개발, 공급 확대 등 14개 사업·40억 원을 투자해 급변하는 시장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해 나간다.
? 사람, 환경 중심의 도민과 상생하는 축산업, 선진동물 방역 실현을 위해 140억 원을 투자한다.
❍ 악취저감형 양돈장 구축사업, 24시 냄새민원 방제단 운영 등 축산분뇨 악취관리 등에 48억 원을 투자하여 축산환경 개선으로 도민이 신뢰받는 축산업을 육성한다.
❍ 우수 승용마 생산을 통한 승마 저변 확대, 경마 산업 위기 극복 및 말 연관산업 가치 창출을 위해 33억 원을 투자해 코로나로 인한 말산업 위기 극복 및 지속 성장 기반을 마련한다.
❍ 또한, 돼지열병 백신항원(롬주) 근절을 위한 E2마커 사독백신 접종 지원, 긴급방역 5억 원 등 동물방역에 총 56억 원을 투자,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구제역·아프리카돼지열병 등 가축전염병 청정지역을 유지한다.
❍ 동물복지 축산농장 확대, 성숙한 반려동물 문화정착 및 생명존중의 동물보호 기반 마련을 위해 3억 원을 투자하여 사람과 동물이 함께 공존하는 환경 조성에도 힘쓸 계획이다.
전병화 도 농축산식품국장은 “급변하는 농업·농촌 환경변화와 코로나 이후 비대면 소비 확대에 대응하여, 수립된 정책들을 계획대로 착실히 추진하여 지속 가능한 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행정력을 집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