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무좀약 등, 안약으로 오인해 눈에 넣는 사고 주의 | ||
---|---|---|---|
작성일 | 2018-05-31 09:48:35 | 조회 | 1,345 회 |
작성자 | 경제일자리정책과 | ||
[출처: 한국소비자원] 무좀약 등, 안약으로 오인해 눈에 넣는 사고 주의- 용기 형태 유사해 시력 좋지 않은 50대 이상 고령층에서 다발 - 최근 시력교정 등 안과수술이 보편화되고 미세먼지와 스마트폰 사용으로 안구건조증 환자가 늘면서 안약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한편, 안약과 유사한 형태의 다른 의약품이나 생활화학제품을 안약으로 오인하고 눈에 넣어 결막염, 화상 등 안구손상을 입는 사고가 발생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최근 3년간(2015년~2017년)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안약 오인 점안사고는 총 133건**에 이른다. *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62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 80개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평가하는 시스템(CISS : 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 연도별 현황 : ’15년 45건 → ’16년 51건 → ’17년 37건 여름철, 무좀약을 안약으로 착각해 눈에 넣는 사고 가장 많아오인 품목은 ‘무좀약’이 41.4%(55건)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순간접착제’ 17.3%(23건), ‘전자담배 니코틴액’ 14.3%(19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 제품은 눈에 들어갈 경우 자극감, 결막충혈이 발생하거나 심한 경우 시력 저하 또는 이차 감염을 유발할 수 있다. 연령별로는 ‘60대’ 26.3%(35건), ‘50대’ 20.3%(27건), ‘70대 이상’ 13.5%(18건) 등의 순으로, 50대 이상 고령층이 전체의 60.1%를 차지했다. 연령대별로 다발 오인품목에 차이를 보였는데, ‘20대~30대’에서는 전자담배 니코틴액이 가장 많은 반면, ‘40대 이상’에서는 무좀약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연령대별 해당 제품의 접촉빈도와 관련된 것으로 분석됐다. 발생시기를 확인할 수 있는 131건을 분석한 결과, 미세먼지가 많고 건조한 3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해 ‘여름(6~8월)’이 전체의 35.1%(46건)로 가장 많았다. 무좀약 등, 용기 형상이 안약과 유사해 오인 사용할 우려 있어무좀약, 순간접착제, 전자담배 니코틴액 등 주요 오인품목* 10종의 용기 형상을 확인한 결과, 용기 형태 및 크기, 입구, 개봉방식, 내용물의 색상 등이 안약과 유사했다. 또한, 제품에 표시된 글자 크기가 대체로 작아 시력이 좋지 않은 고령자, 안과수술 환자들이 오인 사용할 우려가 있었다. * 무좀약 4종, 순간접착제 3종, 전자담배 니코틴액 3종(총 10종) 한국소비자원은 금번 분석 결과를 토대로 안약 오인 점안사고 예방을 위해 ▲의약품은 원래의 용기와 종이상자에 그대로 넣어 생활화학제품과 분리 보관할 것 ▲사용 전 반드시 제품명을 확인할 것 ▲저시력 환자가 안약을 사용할 때는 보호자의 도움을 받을 것을 당부했다. 또한, 눈에 잘못 넣었을 때는 즉시 물이나 식염수 등으로 씻어낸 후 해당 제품을 가지고 병원을 방문해 눈의 손상유무를 확인해야 한다고 밝혔다.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피해발생 문의처
|
|||
첨부 #1 | 180531_안약+오인+점안사고_보도자료.pdf (433 KBytes) 바로보기 |
No. | 제목 | 첨부 | 작성자 | 작성일 | |
---|---|---|---|---|---|
2005 | 향초·인센스 스틱 사용시 실내 공기 오염 우려 있어..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8-01-29 | 1270 |
2004 | 아파트 어린이놀이터 모래 위생관리 강화 시급..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8-01-29 | 1371 |
2003 | 취업컨설팅 서비스, 계약 관련 소비자불만 많아 개선 ..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8-01-29 | 1212 |
2002 | 고무풍선 입으로 불거나 빨면 안돼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8-01-24 | 1235 |
2001 | 무선(스틱형)청소기, 청소성능, 사용시간 등 품질 차..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8-01-22 | 1198 |
2000 | 생활가전 해외직구 시 국내판매가격과 비교 후 결정..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8-01-17 | 1286 |
1998 | 합성수지제 전기장판류에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검출..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8-01-17 | 1289 |
1997 | 2017년 12월 생필품 가격동향 분석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8-01-15 | 1224 |
1996 | 기저귀교환대, 안전사고 위험 높고 위생상태 불량..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8-01-12 | 1245 |
1995 | 한국소비자원, 「해외 항공·호텔 예약 가이드」배포..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8-01-10 | 1231 |
1994 | 테스터 화장품, 위생 관리 강화 필요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8-01-10 | 1210 |
1993 | 벌꿀 제품, 품질관리 강화 필요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7-12-29 | 1280 |
1992 | 조영제 부작용 예방책 마련 필요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7-12-29 | 1219 |
1991 | 피젯스피너, 어린이 안전사고 주의해야..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7-12-22 | 1205 |
1990 | 고령자 안전사고, 일상생활에서 예방이 중요..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7-12-22 | 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