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보험기간 중 상해로 인한 후유장해는 보험종료 후 진단도 인정 | ||
---|---|---|---|
작성일 | 2018-05-11 09:09:06 | 조회 | 1,194 회 |
작성자 | 경제일자리정책과 | ||
[출처: 한국소비자원] 보험기간 중 상해로 인한 후유장해는 보험종료 후 진단도 인정- 1년 만기 단체자전거공제, 보험기간 중 장해진단만 인정한다는 주장 배척 - 한국소비자원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위원장 윤정석)는 지자체가 2014년 7월 자전거를 타는 시민을 위해 새마을금고중앙회(이하 ‘새마을금고’)에 1년간 가입한 ‘단체자전거공제’*와 관련해 공제기간 중 발생한 상해로 치료를 받다가 공제기간 종료 후 후유장해 진단을 받았더라도 공제기간 중 발생한 상해로 인한 것이므로 진단시점과 상관없이 후유장해 공제금을 지급해야 한다고 결정했다. * 2015년 7월 공제기간 종료 후 다른 보험회사에 가입하여 매년 갱신 사건개요 A씨(남·39세)는 2015. 4. 18. 도로에서 자전거를 타던 중 유턴하던 차량을 피하려다 넘어지면서 우측 손목 부위가 골절되는 부상을 당해 금속판고정술 등 수술(1차) 치료를 받고, 지자체가 시민을 위해 가입한 새마을금고의 ‘단체자전거공제’에 공제금을 청구하여 ‘자전거상해위로금’과 ‘자전거상해진단위로금’을 지급받음. 이후 부상당한 손목 부위 골절이 완쾌되지 않아 2016. 9. 인공골두 치환술(2차)을 시행하고 같은 해 11월 후유장해 진단을 받아 후유장해공제금을 청구함. 새마을금고는 보험사고와 후유장해 진단 모두 보험기간 중 발생한 경우에 한해 공제금을 지급할 수 있고, 다른 규정을 준용해도 상해 후 1년 이내에 후유장해 진단을 받았다면 지급이 가능하나, A씨는 상해 후 1년 6개월이 경과하여 진단을 받았으므로 공제금을 지급할 수 없다고 거부함.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는 1)지자체가 가입한 단체자전거공제는 1년 만기 상품으로 상해 후 6개월이 경과한 날 후유장해를 판정하도록 약관에 규정되어 있어 새마을금고 주장대로라면 가입 후 최초 6개월 안에 다친 사람만 후유장해 공제금을 지급받을 수 있는데, 그럴 경우 지자체는 1년 동안의 보험료를 내고도 6개월만 후유장해에 대한 보장을 받게 되는 모순이 발생하는 점, 2)공제기간이 종료되도 상해발생일로부터 1년 이내 후유장해는 인정한다는 약관조항은 장해가 더 악화된 경우에 적용한다는 의미의 조항이며, 설사 이 조항을 적용한다 하더라도 약관상 ‘장해판정기준’에는 금속내 고정물을 제거한 뒤 후유장해를 판정하도록 되어 있어 A씨처럼 2차 수술에서 금속내 고정물을 제거한 후 장해진단을 받은 것은 약관의 규정대로 장해판정을 받은 것으로 볼 수 있는 점, 3)유사사건 판례*에서 보험기간 중 발생한 사고로 인한 후유장해는 보험기간 이후에 진단이 확정되어도 보험금을 지급해야 한다고 판시한 점, 4)보험금청구권 소멸시효 3년이 경과하지 않은 점 등을 고려하여 후유장해공제금을 지급하라고 결정했다. * 대법원 2014. 7. 24. 선고 2013다43956 판결 이 사건 사고와 상당인과 관계에 있는 장해로서 180일 이내에 발생한 장해이기만 하면 이에 대하여 후유장해보험금을 지급할 의무가 발생하고 그 진단확정은 위 180일은 물론 보험기간이 지난 후에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할 것이고...(이하 생략) 이번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의 결정은 보장기간이 비교적 짧은 단체보험의 경우 보험기간이 종료된 이후 후유장해 진단을 받는 경우가 많은데 , 보험기간 중 발생한 상해로 인한 후유장해라면 보험기간이 종료된 후 진단을 받았더라도 보험금을 지급해야 한다 는 내용으로서 소비자 권익을 한층 강화한 조정사례로 평가될 수 있다 .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피해발생 문의처
|
|||
첨부 #1 | 180511_보험분쟁+조정결정(단체자전거공제)_보도자료.pdf (211 KBytes) 바로보기 |
No. | 제목 | 첨부 | 작성자 | 작성일 | |
---|---|---|---|---|---|
2025 | 2017년 소비자 위해동향 분석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8-03-28 | 1061 |
2024 | 식품 알레르기 유발물질 표시제도 개선 필요..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8-03-16 | 1153 |
2023 | 생활화학제품 어린이보호포장 확대 필요..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8-02-28 | 1168 |
2022 | 2018년 1월 소비자상담 동향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8-02-28 | 1173 |
2021 | 유명 브랜드 사칭 해외직구 쇼핑몰 소비자피해 주의..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8-02-28 | 1162 |
2020 | 수입와인, 선택다양성 확대되었으나 가격 만족도 낮아..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8-02-19 | 1185 |
2017 | 온라인 해외구매 소비자불만 큰 폭으로 증가..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8-02-19 | 1198 |
2015 | 2017년 연간 소비자상담 동향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8-02-13 | 1306 |
2014 | 유아용 일회용 기저귀의 흡수성능, 제품에 따라 차이 ..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8-02-13 | 1316 |
2013 | 테이크아웃 원두커피, 카페인 함량 정보제공 필요..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8-02-13 | 1373 |
2012 | 고속도로 주행 광역버스 안전띠 착용률 매우 낮아..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8-02-05 | 1391 |
2011 | 고층건물에 설치된 노인요양시설, 긴급피난 어려워..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8-02-05 | 1471 |
2010 | 공유숙박 플랫폼 계약 취소시, 위약금 주의..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8-02-05 | 1503 |
2008 | 스키장 이용시 안전모 등 보호장구 착용 필요..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8-02-05 | 1251 |
2007 | 자동심장충격기 관련 의무교육·설치 확대 필요..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8-02-05 | 13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