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보도자료] 원안위 라돈검출침대 조사 결과 종합 발표 | ||
---|---|---|---|
작성일 | 2018-05-25 15:11:47 | 조회 | 1,046 회 |
작성자 | 경제일자리정책과 | ||
라돈 검출 침대 대응을 위한 관계 차관회의 개최
ㅇ 동 회의에서는 그간 두 차례(5.18, 5.20) 관계차관회의에서 논의되어 진행 중인 대책과 추진상황을 점검하고, - 추가적인 조사결과와 함께 향후 제도개선을 포함한 종합적인 정부 조치계획을 논의했습니다. □ 논의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 대진침대 매트리스 관련 > □ 원자력안전위원회(이하 원안위)는 모나자이트가 사용된 것으로 알려진 대진침대 매트리스 24종 중 「생활주변방사선 안전관리법(이하 생활방사선법)」의 가공제품 안전기준*을 초과한 7종 매트리스(약 62,088개)에 대해서는 이미 행정 조치를 취했고, 수거가 진행 중입니다. * 가공제품에 의한 일반인의 피폭방사선량이 연간 1 mSv 이하 ㅇ 또한 17종을 추가로 조사한 결과 14종의 매트리스(약 25,661개)가 안전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확인되어 오늘(5.25일) 수거․폐기를 위한 행정조치를 시행합니다. < 타 사 매트리스 관련 > □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5월 8일부터 5월 23일까지 대진침대 이외 49개 침대 매트리스 제조업체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시했습니다. ㅇ 49개 업체 중 모나자이트를 사용한 것으로 신고한 업체는 없었고 수입업체(1개)로부터 모나자이트를 구입한 66개 구매처에서 납품받지도 않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ㅇ 다만, 6개 업체에서 토르말린, 일라이트, 참숯 및 맥반석 등의 첨가물질을 사용했다고 신고했습니다. * 토르말린(2개사), 일라이트(1개사), 참숯(2개사), 맥반석(1개사) ㅇ 상기 4개 첨가 물질은 생활방사선법상 규제대상이 아니고 방사선으로 인한 건강상의 위해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생활밀착형 제품인 침대의 특성과 국민 불안을 감안해 정밀조사를 할 계획입니다. - 이를 위해 현재 시료를 확보하였으며, 신속히 조사․분석하겠습니다. < 침대 외 제품 모나자이트 유통현황 조사 > □ 원안위는 산업통상자원부,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함께 모나자이트 수입업체(1개)로부터 모나자이트를 구입한 66개 구매처에 대한 1차 조사를 완료한 결과, 현재까지 13개 업체가 내수용 가공제품을 제조하거나 판매하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습니다. □ 13개 업체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ㅇ 1개 업체는 매트리스를 생산하여 전량 대진침대로 납품한 업체로 확인됐습니다. * 이미 대진침대 매트리스는 수거 처분 중 ㅇ 목걸이, 팔찌*, 전기장판용 부직포 등을 생산하는 9개 업체 제품은 라돈으로 인한 내부피폭선량이 관리기준(1 mSv/y)을 넘지 않거나 외부영향 문제가 없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 겉면이 유약 등으로 코팅되어 모나자이트에서 발생하는 라돈⋅토론이 공기 중으로 전파될 가능성이 희박 ㅇ 세라믹 등을 생산하는 나머지 3개 업체는 현재 시료를 확보하여 분석⋅평가 중이며, 결과가 나오는대로 신속히 공개할 예정입니다. □ 그 밖에 53개 구매처는 실험·연구, 해외수출* 등을 위해 구매한 경우, 구매한 모나자이트를 전량 보관하고 있는 경우, 폐업한 경우 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으며, 현재 기관별 상세 사용 현황에 대해 확인·점검 중에 있습니다. * 현재까지 조사결과, 53개 구매처중 1개 업체로부터 납품을 받은 2개 업체에서 제조한 카페트 원단의 경우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조사(A업체 2.34mSv/y, B업체 4.98mSv/y)되었으나 전량 해외로 수출되었음을 확인 ㅇ 점검결과는 신속히 공개하고 필요한 조치를 실시할 계획입니다. < 소비자 지원방안 > □ 한국소비자원은 대진침대 소비자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안내 및 상담을 실시하고 있으며 집단분쟁조정 등을 통한 지원을 추진 중입니다. □ 지금까지 진행된 바와 같이 소비자의 건강 관련 궁금증 및 불안 해소를 위한 원자력의학원의 전화상담, 전문의 무료상담 등은 지속적으로 실시할 계획입니다. < 제도개선 > □ 정부는 우선 매트리스 수거, 안전성 확인, 소비자 지원에 집중하고 이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 및 제도개선 사항에 대하여 전문가, 소비자 단체 의견 등을 수렴하여 범부처 종합대책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 이번 사안을 계기로 발견된 생활주변 방사선 안전관리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해 원료물질부터 제품까지 추적·조사할 수 있도록 등록의무자 확대 등 관련법령 개정을 추진하겠습니다. ㅇ 또한 신체에 밀착하여 사용하는 일상 생활용품에 모나자이트 사용을 제한하거나 천연방사성물질 성분표시 의무화 방안도 검토해 나가겠습니다. □ 아울러 관계기관 협조를 통해 추가적으로 필요한 조사를 철저하고 신속하게 추진하고, 그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하겠습니다. <참고> 사안별 주요 연락처 ㅇ 건강영향 상담 : 원자력의학원 전화상담(1522-2300, 평일 08~22시, 주말 09~18시), 온라인 Q&A, 이메일상담(radonhelp@kirams.re.kr) ㅇ 매트리스 수거 신청 : 대진침대 1544-4475, 02-538-2800, http://www.daijinbed.co.kr ㅇ 밀봉비닐 신청 :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http://www.kins.re.kr ㅇ 기타 Q&A : 원자력안전위원회 http://www.nssc.go.kr |
|||
첨부 #1 | 180525_원안위_라돈검출침대_조사_결과_종합_발표_보도자료.hwp (32 KBytes) 바로보기 |
No. | 제목 | 첨부 | 작성자 | 작성일 | |
---|---|---|---|---|---|
2042 | 주식투자정보서비스, 계약해지 시 위약금 과다청구 등..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8-05-31 | 1048 |
2041 |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 대진침대 매트리스 라돈 피해 ..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8-05-31 | 1233 |
2040 | 화상사고 발생 나디 해피바디 족욕기 | 1 | 제주특별자치도 | 2018-05-25 | 1169 |
2039 |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 대진침대 매트리스 라돈 피해 ..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8-05-25 | 1195 |
보도자료] 원안위 라돈검출침대 조사 결과 종합 발표..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8-05-25 | 1046 | |
2036 | 2018년 4월 다소비 가공식품 가격동향 분석..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8-05-14 | 1088 |
2035 | 보험기간 중 상해로 인한 후유장해는 보험종료 후 진..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8-05-11 | 1190 |
2034 | 해외 호텔예약시 꼼꼼히 살펴보고 결제해야..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8-05-09 | 1155 |
2033 | 어린이음료 일부제품, 당류 함량 높아 구입시 확인할 ..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8-05-09 | 1073 |
2032 | 앞바퀴 이탈 사고 발생한 마라톤 킥스쿠터 MA-01 무상..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8-05-02 | 1119 |
2031 | 안마의자, 고령자나 뼈 관련 질환자 등 사용 주의..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8-04-25 | 1157 |
2030 | 2018년 3월 소비자상담 동향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8-04-25 | 1001 |
2028 | 2018년 3월 다소비 가공식품 가격 다소 상승..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8-04-16 | 1071 |
2027 | 수술 고위험군 환자의 고주파절제술은 보험약관상 ‘..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8-04-04 | 1118 |
2026 | 치아 투명교정, 부실진료 관련 소비자불만 크게 증가..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8-03-30 | 105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