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인터넷교육서비스, 정수기대여 등 전월 대비 상담 증가율 높아 | |||||||||||||||||||||||||||||||||||||||||||||||||||||||||||||||||||||||||||||||||||||||
---|---|---|---|---|---|---|---|---|---|---|---|---|---|---|---|---|---|---|---|---|---|---|---|---|---|---|---|---|---|---|---|---|---|---|---|---|---|---|---|---|---|---|---|---|---|---|---|---|---|---|---|---|---|---|---|---|---|---|---|---|---|---|---|---|---|---|---|---|---|---|---|---|---|---|---|---|---|---|---|---|---|---|---|---|---|---|---|---|
작성일 | 2022-04-15 11:30:54 | 조회 | 724 회 | |||||||||||||||||||||||||||||||||||||||||||||||||||||||||||||||||||||||||||||||||||||
작성자 | 경제정책과 | |||||||||||||||||||||||||||||||||||||||||||||||||||||||||||||||||||||||||||||||||||||||
인터넷교육서비스, 정수기대여 등 전월 대비 상담 증가율 높아 한국소비자원(원장 장덕진)과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회장 원영희)가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소비자상담을 빅데이터시스템을 활용해 분석한 결과, 2022년 3월 전체 상담 건수가 전월 대비 11.3% 증가했다고 밝혔다.
☐ 소비자상담 전월 대비 11.3% 증가 2022년 3월 소비자상담은 45,543건으로 전월(40,927건) 대비 11.3%(4,616건) 증가했고, 전년 동월(52,484건) 대비 13.2%(6,941건) 감소했다.
* 2022년 4월 1일 조회기준이며, 상담 처리기한(30일) 내 수치 변동 가능 ☐ 전월 대비 ‘인터넷교육서비스’, ‘정수기대여(렌트)’, ‘항공여객운송서비스’ 증가율 높아 상담 증가율 상위 품목을 분석한 결과, 전월 대비 ‘인터넷교육서비스’(57.8%)가 가장 많이 증가했고, ‘정수기대여(렌트)’(51.8%), ‘항공여객운송서비스’(51.4%)가 뒤를 이었다.
‘인터넷교육서비스’는 조건부 수강료 환급형 강의에 대한 사업자의 환급 지연으로 불만이 증가하였고, ‘정수기대여(렌트)’는 수리기사 파업으로 A/S가 지연되어 계약 해지를 요청하는 상담이 많았다. ‘항공여객운송서비스’는 소비자의 코로나19 확진으로 항공권 이용이 어려워져 위약금 없는 계약해지를 요구하는 상담이 다발하였다. 전년 동월 대비 상담 증가율은 ‘실손보험’(173.6%), ‘각종 숙박시설’(111.8%), ‘신유형상품권’(69.6%)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실손보험’은 의료자문 비동의 시 보험금 지급 거절 등에 대한 불만이 많았으며, ‘각종 숙박시설’은 코로나19 확진으로 인한 계약 취소 시 수수료가 발생하여 중재를 요청한 사례가 많았다. ‘신유형상품권’은 유효기간이 지난 상품권에 대한 사업자의 환불 거부로 불만이 증가하였다. 상담 다발 품목으로는 ‘유사투자자문’(2,327건)이 가장 많았으며 ‘헬스장’(1,229건), ‘이동전화서비스’(1,127건)이 뒤를 이었다.
☐ 연령대는 30대(28.8%), 상담사유는 계약해제・위약금(25.0%)이 많아 연령대별로는 30대가 12,273건(28.8%)으로 가장 많았고, 40대 11,946건(28.0%), 50대 8,307건(19.5%) 순이었다. 상담사유별로는 ‘계약해제・위약금’이 11,408건(25.0%), ‘품질・A/S관련’ 10,970건(24.1%), ‘계약불이행’ 7,001건(15.4%) 순이었으며, 일반판매를 제외한 판매방법에서는 ‘국내 전자상거래’ 13,770건(30.2%), ‘전화권유판매’ 2,537건(5.6%), ‘방문판매’ 1,833건(4.0%) 순으로 비중이 높았다.
< 붙임 > 2022년 3월 소비자 빅데이터 트렌드 |
||||||||||||||||||||||||||||||||||||||||||||||||||||||||||||||||||||||||||||||||||||||||
첨부 #1 | 220415_2022년+3월+소비자+빅데이터+트렌드_보도자료.pdf (873 KBytes) 바로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