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학교 응급처치 교육, 실습 확대로 교육 실효성 높여야 | |||||||||||||||||||||||||||||||
---|---|---|---|---|---|---|---|---|---|---|---|---|---|---|---|---|---|---|---|---|---|---|---|---|---|---|---|---|---|---|---|---|
작성일 | 2022-06-17 13:28:07 | 조회 | 675 회 | |||||||||||||||||||||||||||||
작성자 | 경제정책과 | |||||||||||||||||||||||||||||||
학교 응급처치 교육, 실습 확대로 교육 실효성 높여야 - 심폐소생술(CPR)·자동심장충격기(AED) 실습 확대, 교재 지원 필요- 심정지 사고의 골든타임은 약 4~6분에 불과해 환자의 생명을 살리기 위해서는 발견 즉시 심폐소생술(CPR)을 실시하는 등 신속한 응급처치가 매우 중요하다. 이에 최근 자동심장충격기(AED) 설치가 확대되고 「학교보건법」을 통해 심폐소생술 등 응급처치 교육이 의무화되었다. 그러나 한국소비자원(원장 장덕진)이 고교 재학 중 응급처치 교육을 받은 대학생 163명을 면접 조사한 결과, 상당수가 응급처치 방법을 정확하게 알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응급처치 교육의 실효성을 높이는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 조사대상의 11.7%만이 응급처치 절차와 방법을 정확히 알고 있어 고교 재학 중 응급처치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대학생(163명)에게 ‘심정지 환자에 대한 응급처치 요령‘을 알고 있는지 확인한 결과, ‘심폐소생 방법(가슴압박 및 인공호흡 등)‘을 숙지하고 있는 응답자는 73.6%(120명)였다. 그러나 ‘응급처치 순서(환자상태 확인→심폐소생술→자동심장충격기 사용)‘를 정확하게 알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56.4%(92명)였으며, 패드부착 위치 등 자동심장충격기 사용방법을 알고 있는 응답자는 24.5%(40명)로 나타났다. 특히 응급처치 순서와 심폐소생 방법 등 전체 응급처치 요령을 정확히 알고 있는 비율은 11.7%(19명)에 불과했다. [ 고등학교 응급처치 교육경험자의 응급처치 요령 숙지 결과 ]
1) 현장안전 확인 → 반응 확인 → 119 신고 → 맥박 및 호흡 확인 → 심폐소생술 → 자동심장충격기 사용 2) 가슴압박(100~120회/분)과 인공호흡 비율 30 : 2 등 3) 패드부착 위치 ☐ 교육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주기적인 교육과 실습 확대가 필요 한국소비자원이 15개 시․도 교육청*의 자료 협조를 받아 분석한 결과, 2017년부터 2019년까지 99% 이상의 고등학교에서 응급처치 교육을 시행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서울, 부산, 대구,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15개) 그러나 이번 조사 결과, 응급처치 교육을 받았음에도 처치 방법을 정확히 알고 있는 경우가 많지 않았다. 응급처치 교육을 위급상황에서 실제 적용할 수 있으려면 체계적이고 반복적인 교육과 더불어 심폐소생술(CPR)․자동심장충격기(AED) 등의 실습 교육, 수업 매뉴얼․영상자료와 같은 교재 지원, 강사의 전문성 등이 중요하다. 또한, 학교 응급처치 교육에서 보완할 점(복수응답)에 대한 답변으로 실습(자동심장충격기 93.8%, 심폐소생술 실습 90.1%)과 교육 횟수 확대(52.1%)를 많이 선택한 것으로 조사되어, 이에 대한 방안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고등학교 응급처치 교육 보완점(복수응답) ]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부에 ▲학생의 응급상황 대응능력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 및 실습 확대, ▲응급처치 교육 효과의 증진을 위한 교재(수업 매뉴얼, 영상자료) 제작․배포를 요청할 예정이다.
|
||||||||||||||||||||||||||||||||
첨부 #1 | 220531_응급처치+교육+실태조사_보도자료.pdf (323 KBytes) 바로보기 |
No. | 제목 | 첨부 | 작성자 | 작성일 | |
---|---|---|---|---|---|
2387 | “추석 명절 택배, 상품권 소비자피해 주의하세요” | 1 | 경제정책과 | 2022-09-07 | 593 |
2386 | 고령자 안전사고 10건 중 6건이 낙상사고로 나타나 | 1 | 경제정책과 | 2022-09-07 | 615 |
2385 | 국내 플러그 기준에 부적합한 충전기 사용 주의 | 1 | 경제정책과 | 2022-09-07 | 551 |
2384 | 가격비교사이트 가격정보 및 표시사항 정확성 개선 필요 | 1 | 경제정책과 | 2022-09-07 | 566 |
2383 | 중고차 구입 시 침수 흔적 철저히 확인해야 | 1 | 경제정책과 | 2022-09-07 | 561 |
2382 | 냉방기기, 국외여행 등 전월 대비 상담 증가율 높아 | 1 | 경제정책과 | 2022-09-06 | 625 |
2381 | 여행용 캐리어, 시험대상 전 제품 내충격성 등 내구성 우수해 | 1 | 경제정책과 | 2022-09-06 | 660 |
2380 | 즉석커피, 제품 유형에 따라 당류 함량 차이 커 | 1 | 경제정책과 | 2022-09-06 | 675 |
2379 | 중고거래앱 만족도, ‘거래물품’ 다양성 높고 ‘고객센터’ 신속응대 낮아 | 1 | 경제정책과 | 2022-09-06 | 673 |
2378 | 삼성전자㈜ 드럼세탁기 일부 모델 자발적 무상 수리 실시 | 1 | 경제정책과 | 2022-09-06 | 593 |
2377 |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 "상품권의 유효기간 경과로 지급된 적립금, 사용기간이 경과되어도 잔액의 90% 환급 | 1 | 경제정책과 | 2022-09-06 | 541 |
2376 | 스마트폰 보험 가입 시 중요 정보 제공 강화해야 | 1 | 경제정책과 | 2022-09-06 | 585 |
2375 | 백내장 수술 피해 소비자의 58.8%는 충분한 설명 듣지 못해 | 1 | 경제정책과 | 2022-09-06 | 548 |
2374 | 스포츠 티셔츠, 흡수성과 건조속도에 제품별 차이 있어 | 1 | 경제정책과 | 2022-08-16 | 1001 |
2373 | 라이브커머스 소비자 만족도, ‘주문 및 결제 과정’ 높고 ‘긍정감정’ 낮아 | 1 | 경제정책과 | 2022-08-16 | 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