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놀이터 안전사고 매년 천 건 이상 발생, '여름'이 41.6% 차지" | |||||||||||||||||||||||||||||||||||||||||||||||||||||||||||||||||||||||||||||||||||||||||
---|---|---|---|---|---|---|---|---|---|---|---|---|---|---|---|---|---|---|---|---|---|---|---|---|---|---|---|---|---|---|---|---|---|---|---|---|---|---|---|---|---|---|---|---|---|---|---|---|---|---|---|---|---|---|---|---|---|---|---|---|---|---|---|---|---|---|---|---|---|---|---|---|---|---|---|---|---|---|---|---|---|---|---|---|---|---|---|---|---|---|
작성일 | 2022-06-30 10:18:50 | 조회 | 686 회 | |||||||||||||||||||||||||||||||||||||||||||||||||||||||||||||||||||||||||||||||||||||||
작성자 | 경제정책과 | |||||||||||||||||||||||||||||||||||||||||||||||||||||||||||||||||||||||||||||||||||||||||
“놀이터 안전사고 매년 천 건 이상 발생, ‘여름‘이 41.6% 차지” - 놀이터 안전사고 원인은 ‘추락’이 58.3%로 가장 많아 - □ 한국소비자원(원장 장덕진, 이하 소비자원)과 공정거래위원회(위원장 조성욱, 이하 공정위)는 야외활동이 많은 여름철을 맞아 놀이터에서 발생하는 어린이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안전주의보를 발령했다.
ㅇ 놀이터는 어린이들의 신체 기능 및 사교성 발달에 중요한 장소이나 크고 작은 안전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해 주의가 요구된다. - 최근 3년간(2019년~2021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놀이터 내 어린이 안전사고는 총 4,076건으로 매년 1,000건 이상 발생하고 있다. ※ 놀이터 내 어린이 안전사고 건수 : (’19년) 1,736건 → (’20년) 1,176건 → (’21년) 1,164건 - 계절별로는 여름방학 등으로 야외활동이 많아지는 여름철(1,697건)에 많이 발생했고, 발달단계별로는 학령기(7~14세) 어린이(1,755건)에게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미끄럼틀‧그네 등 놀이기구에서 떨어지는 추락 사고(2,376건)가 가장 많았다.
□ 소비자원과 공정위는 보호자들에게 놀이터 내 어린이 안전사고 사례 및 주의사항을 잘 숙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도록 주의를 당부했다. ㅇ 이와 더불어 어린이 안전을 위협하는 위해요소를 신속하게 발굴하여 선제적으로 예방정보를 제공하는 등 어린이 생활안전 확보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최근 3년간(2019년∼2021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놀이터 내 어린이 안전사고는 총 4,076건으로 매년 1,000건 이상 다발하고 있으며, 전체 놀이터 안전사고(4,185건) 중 97.4%(4,076건)로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 CISS(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58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 76개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평가하는 시스템 [ 연도별 놀이터 안전사고 발생건수 현황 ] (단위 : 건, %)
ㅇ 놀이터 내 어린이 안전사고는 ’19년 1,736건에서 ’21년 1,164건으로 32.9% 감소하였으나 전체 어린이 위해정보*에서 놀이터가 차지하는 비율은 ’19년 7.0%에서 ’21년 7.3%로 소폭 증가하였다. * (’19년) 24,971건 → (’21년) 15,871건으로 36.4% 감소 □ 놀이터 내 어린이(0~14세) 안전사고 4,076건을 발달단계별로 분석한 결과, ‘학령기(7~14세)’가 1,755건(43.1%)으로 가장 많았으며, 미취학(0~6세) 아동은 ‘유아기(4~6세)’ 1,440건(35.3%), ‘걸음마기(1~3세)’ 876건(21.5%), ‘영아기(0세)’ 5건(0.1%) 순이었다. □ 계절별 발생 현황을 분석한 결과, ‘여름’이 1,697건(41.6%)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가을’ 1,021건(25.0%), ‘봄’ 763건(18.7%), ‘겨울’ 595건(14.6%) 순으로, 야외활동이 많아지는 여름방학 시기에 안전사고가 다소 많이 발생했다.
가. 항목별 위해현황 □ (위해원인) 놀이터의 놀이기구에서 떨어지는 ‘추락’이 2,376건(58.3%)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뛰다가 넘어지는 ‘미끄러짐·넘어짐’ 799건(19.6%), 놀이기구 모서리나 나무에 부딪히는 ‘부딪힘’ 737건(18.1%) 등의 순이었다. ㅇ 안전사고는 학령기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나, ‘미끄러짐·넘어짐’, ‘예리함·마감처리 불량’은 유아기가 각 282건, 10건으로 학령기 265건, 8건보다 많았다. ㅇ 그 밖에 놀이터 모래상자의 모래가 눈에 들어가거나 나무로 된 놀이기구를 만지다 손가락에 나무 가시가 박히는 등 다양한 위해사례도 확인되었다. □ (위해증상) ‘피부 및 피하조직 손상’이 1,631건(40.0%)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근육, 뼈 및 인대 손상’ 1,298건(31.8%), ‘뇌진탕 및 타박상’ 1,054건(25.9%) 등의 순이었다. ㅇ ‘피부 및 피하조직 손상’의 세부 내용으로는 피부가 찢어지는 ‘열상’이 1,358건(83.3%)으로 상당수를 차지했고, 이어 ‘찰과상’ 165건(10.1%), ‘출혈 및 혈종’ 58건(3.6%) 등의 순이었다. ㅇ ‘근육, 뼈 및 인대 손상’의 세부 내용으로는 ‘골절’이 1,155건(89.0%)으로 대다수였으며, 이어 ‘염좌’ 81건(6.2%), ‘탈구’ 55건(4.2%) 등의 순이었다. ㅇ ‘뇌진탕 및 타박상’은 ‘타박상’ 839건(79.6%), ‘뇌진탕’ 215건(20.4%)이 접수됐다. ㅇ 이외에도 놀이기구에서 떨어져 두통과 구토 등으로 병원을 내원하거나 미끄럼틀에 의한 쓸림, 화상 등의 위해증상도 접수됐다.
□ (위해부위) ‘머리 및 얼굴’이 2,259건(55.4%)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팔 및 손’ 1,237건(30.3%), ‘둔부, 다리 및 발’ 301건(7.4%) 등의 순이었다. □ (위해품목) ‘미끄럼틀’이 1,160건(28.5%)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그네’ 813건(19.9%), ‘철봉’ 627건(15.4%), ‘놀이터 시설(놀이기구) 외’* 506건(12.4%), ‘기어오르기 시설’ 393건(9.6%) 등의 순이었다. * 놀이터 내 시설(놀이기구 등) 외에서 일어난 위해정보(예: 놀이터 바닥에서 미끄러짐·넘어짐 등) 나. 품목에 따른 위해원인 및 주요 위해사례 □ (주요 품목별 위해원인) ‘미끄럼틀’, ‘그네’, ‘철봉’, ‘기어오르기 시설’은 ‘추락’이 각 638건(55.0%), 604건(74.3%), 478건(76.2%), 361건(91.9%)으로 가장 많았고 ‘놀이터 시설(놀이기구) 외’는 ‘미끄러짐·넘어짐’이 475건(93.9%)으로 가장 많았다.
<주요 품목별 위해사례>
□ 놀이터 시설 안전 및 관리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높아지고 있으나 어린이의 놀이터 이용 안전 문화·인식은 여전히 부족하다. ㅇ 시설의 안전뿐만 아니라 시설을 이용하는 어린이와 보호자들의 안전 문화·인식도 함께 높아져야 안전사고를 더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 소비자원과 공정위는 놀이터 어린이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보호자들에게, ▲ 영유아가 놀이터를 이용할 때는 놀이를 마칠 때까지 옆에서 지켜볼 것 ▲ 놀이터 안내판 등을 통해 보호자가 먼저 기구별 안전수칙을 숙지하여 어린이에게 기구 이용법 및 주의사항을 알려줄 것 ▲ 어린이에게 운동화를 신기고, 놀이기구에 걸릴만한 모자나 끈 등이 달리지 않은 티셔츠, 바지 등 활동하기 편한 옷을 입힐 것 ▲ 놀이기구는 차례대로 질서를 지켜 이용하게 하고 놀이기구에서 밀고 당기는 장난을 치지 않도록 지도할 것 ▲ 미끄럼틀을 거꾸로 오르거나 움직이는 그네에서 뛰어내리는 등 놀이기구를 부적절하게 이용하지 못하게 할 것 ▲ 낮은 곳을 지나갈 때 머리를 부딪히지 않도록 조심하게 할 것 등을 당부했다.
<붙임> 1. 놀이터 어린이 안전사고 위해정보 분석 결과 2. 주요 놀이터 안전사고 사례 3. 놀이터 내 어린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주의사항
|
||||||||||||||||||||||||||||||||||||||||||||||||||||||||||||||||||||||||||||||||||||||||||
첨부 #1 | 220621_놀이터+내+어린이+안전사고주의보_보도자료.pdf (389 KBytes) 바로보기 |
No. | 제목 | 첨부 | 작성자 | 작성일 | |
---|---|---|---|---|---|
2327 | 중고차 시장, 허위·미끼 매물 규제 강화 등 거래 전반 개선 필요 | 1 | 경제정책과 | 2022-04-15 | 757 |
2326 | 인체 접촉성 합성수지·합성가죽 제품에서 유해물질 검출 | 1 | 경제정책과 | 2022-04-15 | 732 |
2325 | '취미용품', '정보통신서비스' 국제거래 상담 증가율 높아 | 1 | 경제정책과 | 2022-04-11 | 707 |
2324 | 커피·음료 전문점의 영양성분 자율 표시 확대 필요 | 1 | 경제정책과 | 2022-04-11 | 789 |
2323 | 일부 조화 제품에서 환경에 유해한 물질 검출 | 1 | 경제정책과 | 2022-04-11 | 698 |
2322 | 자동차 동반석 등받이 지나치게 눕히면 사고 시 상해 위험 높아져 | 1 | 경제정책과 | 2022-04-11 | 697 |
2321 | 도심공원 내 CCTV, 효율적 설치·운영으로 안전 사각지대 해소해야 | 1 | 경제정책과 | 2022-04-11 | 694 |
2320 | 대중골프장 이용료, 4개월 만에 약 8% 하락 | 1 | 경제정책과 | 2022-04-11 | 618 |
2319 | 코로나19 발생 이후, 섬유제품·세탁분쟁 감소 추세 | 1 | 경제정책과 | 2022-04-11 | 681 |
2318 | 무시동 히터 사용 시 배출가스와 고온 화상에 주의 | 1 | 경제정책과 | 2022-04-11 | 726 |
2317 | 캠핑장 계약 취소 시 위약금 과다 청구로 소비자불만 많아 | 1 | 경제정책과 | 2022-04-11 | 659 |
2316 | “호텔·펜션 등 숙박시설 이용 시 안전사고 주의” | 1 | 경제정책과 | 2022-04-11 | 669 |
2315 | 호텔·펜션, 정수기 렌트 등 전월 대비 상담 증가율 높아 | 1 | 경제정책과 | 2022-04-11 | 642 |
2314 | 구독형 소프트웨어 앱, 계약해지 정보 제공 미흡해 | 1 | 경제정책과 | 2022-04-11 | 664 |
2313 | LG전자㈜ 빌트인 듀얼 냉온정수기, 자발적 사용 중지 권고 | 1 | 경제정책과 | 2022-04-11 | 64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