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식품 알레르기 유발물질 표시제도 개선 필요 | ||||||||||||||||||||||||||||||||
---|---|---|---|---|---|---|---|---|---|---|---|---|---|---|---|---|---|---|---|---|---|---|---|---|---|---|---|---|---|---|---|---|---|
작성일 | 2018-03-16 10:02:00 | 조회 | 1,151 회 | ||||||||||||||||||||||||||||||
작성자 | 경제일자리정책과 | ||||||||||||||||||||||||||||||||
[출처: 한국소비자원] 식품 알레르기 유발물질 표시제도 개선 필요- 주의·환기 표시 폐지 검토해야 - 식품에 알레르기 유발물질이 불가피하게 혼입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 의무적으로 기재하고 있는 주의·환기 표시가 오히려 사업자의 품질관리 책임을 소홀하게 하거나 위해제품 회수 면책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 ※ (주의·환기 표시) 알레르기 유발물질 표시 이외에 알레르기 유발물질을 원재료로 사용하는 제품과 사용하지 않은 제품을 같은 제조 과정(작업자, 기구, 제조라인, 원재료보관 등 모든 제조과정)에서 생산하여 불가피하게 혼입 가능성이 있는 경우 주의사항 문구를 표시 주의·환기 표시빈도 높고 알레르기 유발물질 망라해 표시제도 취지 못살려한국소비자원이 어린이 대상 및 일반 다소비 식품 총 120개 제품*의 알레르기 표시실태를 조사한 결과, 주의·환기 표시한 제품이 91개(75.8%)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시중 유통 중인 초콜릿류·우유류·과자류(유탕처리제품)·어린이음료 각 30종 총 120개 제품 특히, 어린이음료 30개 중 알레르기 유발물질을 원재료로 사용한 제품은 8개(26.7%)에 불과했으나, 28개(93.3%) 제품은 별도의 주의·환기 표시를 통해 다양한 알레르기 유발물질이 포함될 수 있음을 밝히고 있었다. 복숭아·토마토 등 일부 알레르기 유발물질은 대부분의 제품에 주의·환기 표시되어 있어 해당 성분에 알레르기가 있는 어린이는 음료를 구입하기 어려워 선택권을 제한할 우려가 있었다.
[ 어린이음료 (30 개 제품 ) 주의 · 환기 표시 현황 ]
* 난류(10건), 아황산류(8건), 호두(8건) 등 ** 중복집계
주의·환기 표시, 소비자 혼란 초래할 수 있어 폐지 검토 필요유럽연합(EU)·미국 등 주요 선진국에서는 알레르기 유발물질 혼입가능성에 대해 주의·환기 표시를 강제하고 있지는 않으나*, 원재료 표시란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성분이 검출될 경우 제조업체의 원재료·완제품 관리책임을 물어 회수조치를 적극 실시하고 있다. * 사업자 자율 표시 반면, 우리나라는 원재료 표시와는 별도로 혼입 가능성이 있는 알레르기 유발물질에 대해 주의·환기 표시를 의무화하고 있는데, 주의·환기 표시된 성분이 검출되더라도 위해식품 회수대상*에서 제외되는 등 동 제도가 사업자의 회수 면책 목적으로 오용될 우려가 있다. * ‘위해식품 회수지침’에 따라 표시대상 알레르기 유발물질을 표시하지 않은 경우 회수대상에 해당 또한, 실제 원재료로 사용하지 않은 알레르기 유발물질도 사업자가 자유롭게 주의·환기 표시를 별도로 할 수 있어 품질관리를 소홀히 하거나 알레르기 질환이 있는 소비자는 제품의 원재료 이외 주의·환기 표시까지 확인하지 않으면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식품 알레르기 위해사고, 2년새 약 2배 증가, 영유아 · 어린이가 상당수 차지최근 3년간(2015년~2017년)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식품 알레르기 관련 위해사고는 총 1,853건으로, 특히 2017년에는 835건이 접수되어 2015년(419건)에 비해 약 2배 증가했다. * 연도별 위해사고 건수(증감률) : ’15년 419건 → ’16년 599건(43.0%↑) → ’17년 835건(39.4%↑) 특히, 4건 중 1건은 ‘10세 미만’ 영유아·어린이 안전사고인 것으로 확인돼(451건, 26.6%) 보호자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부모 이외 돌봄교사나 알레르기 질환이 있는 어린이도 알레르기 정보를 쉽게 확인하고 주의를 기울일 수 있도록 알레르기 유발물질 표시방법을 개선할 필요도 있다. 한국소비자원은 식품 알레르기 질환자 및 보호자에게 ▲제품 구입 시 알레르기 유발물질 포함 여부를 꼼꼼히 확인할 것을 당부했다. 또한, 식품의약품안전처에는 ▲주의·환기 표시 폐지 ▲알레르기 유발물질 표시방법 개선을 요청할 예정이다.
|
|||||||||||||||||||||||||||||||||
첨부 #1 | 180314_식품+알레르기_보도자료.pdf (468 KBytes) 바로보기 |
No. | 제목 | 첨부 | 작성자 | 작성일 | |
---|---|---|---|---|---|
2044 | 1인 가구 다소비 간편식품, 전년대비 즉석카레·라면 ..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8-06-04 | 1241 |
2043 | 무좀약 등, 안약으로 오인해 눈에 넣는 사고 주의..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8-05-31 | 1332 |
2042 | 주식투자정보서비스, 계약해지 시 위약금 과다청구 등..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8-05-31 | 1028 |
2041 |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 대진침대 매트리스 라돈 피해 ..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8-05-31 | 1211 |
2040 | 화상사고 발생 나디 해피바디 족욕기 | 1 | 제주특별자치도 | 2018-05-25 | 1144 |
2039 |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 대진침대 매트리스 라돈 피해 ..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8-05-25 | 1168 |
2038 | 보도자료] 원안위 라돈검출침대 조사 결과 종합 발표..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8-05-25 | 1027 |
2036 | 2018년 4월 다소비 가공식품 가격동향 분석..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8-05-14 | 1069 |
2035 | 보험기간 중 상해로 인한 후유장해는 보험종료 후 진..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8-05-11 | 1159 |
2034 | 해외 호텔예약시 꼼꼼히 살펴보고 결제해야..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8-05-09 | 1149 |
2033 | 어린이음료 일부제품, 당류 함량 높아 구입시 확인할 ..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8-05-09 | 1072 |
2032 | 앞바퀴 이탈 사고 발생한 마라톤 킥스쿠터 MA-01 무상..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8-05-02 | 1115 |
2031 | 안마의자, 고령자나 뼈 관련 질환자 등 사용 주의..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8-04-25 | 1157 |
2030 | 2018년 3월 소비자상담 동향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8-04-25 | 1000 |
2028 | 2018년 3월 다소비 가공식품 가격 다소 상승..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8-04-16 | 10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