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국외여행상품의 정보제공 개선으로 소비자권익 향상 기대 | ||||||||||||||||||||||||||
---|---|---|---|---|---|---|---|---|---|---|---|---|---|---|---|---|---|---|---|---|---|---|---|---|---|---|---|
작성일 | 2017-12-22 09:18:25 | 조회 | 1,176 회 | ||||||||||||||||||||||||
작성자 | 경제일자리정책과 | ||||||||||||||||||||||||||
[출처: 한국소비자원] 국외여행상품의 정보제공 개선으로 소비자권익 향상 기대- ‘정보제공 표준안’참여사 이행률 평균 96.2%로 모두 권고기준 준수 - 올해 우리 국민의 출국자 수가 약 2,600만명 이상으로 예상된다. 이에 한국소비자원, 한국관광공사 및 한국여행업협회는 국외여행 소비자 권익 향상을 위한 「국외여행상품 정보제공 표준안」(이하 ‘정보제공 표준안’) 사업을 ’14년 7월 이후 공동으로 추진하여 왔다. 올해 5월 1단계 사업(패키지상품)이 완성된 가운데, 종합여행사들의 정보제공 실태를 조사한 결과, 참여 여행사의 적극적인 협조로 정보제공 표준안 사업이 안정적 단계로 진입한 것으로 보인다. <국외여행상품 정보제공 표준안 사업> - (주요내용) ① 상품가격·계약취소·숙박·선택관광·쇼핑 등 여행상품의 핵심정보를 명확하게 표시하기 위한 ‘정보제공 표준안’ 마련(’14.7), ② 1단계 표준안 개선 완료 후, 참여 여행사에 대해 3개 관계기관이 인정한 ‘표준안 참여 마크’ 부여(’17.5), ③ 주요 표준안 내용(50개 항목)에 대한 이행 실태조사 실시(권고 이행률 90% 설정, 미만시 미 준수 간주 및 ‘참여마크’ 취소) - (표준안 참여 여행사) 내일투어, 노랑풍선, 레드캡투어, 롯데관광개발, 모두투어, 세중, 여행박사, 온누리투어, 웹투어, 인터파크투어, 자유투어, 참좋은여행, KRT, 투어2000, 하나투어, 한진관광, 현대드림투어(총 17개). 단, 이중 3개사(내일투어, 세중, 현대드림투어)는 소비자 대상 패키지상품을 판매하지 않아 조사 대상에서 제외 참여사 평균 이행률 96.2%, 레드캡투어 매우 우수(99.9%)15개 여행지 여행상품의 정보제공 표준안 이행 실태를 조사한 결과, 14개 참여 여행사의 평균 이행률이 96.2%로 나타났고, 참여 여행사 모두 관계기관이 권고한 이행률 90% 이상을 달성하여 정보제공 표준안을 준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레드캡투어의 경우 99.9%의 이행률로써, 여행상품 정보제공 표준안 준수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여행사 중 정보제공 표준안 미참여 여행사(4개)의 평균 이행률은 70.3%에 불과하여, 참여 여행사와 분명한 대조를 이루었다. 14개 참여 여행사 모두 이행률이 90% 이상인 반면, 미참여 여행사 4곳 중 3곳이 90% 미만으로 나타났다. 일본 여행상품 이행률이 97.3%로 가장 높아참여 여행사 여행상품을 여행지별로 조사한 결과, 일본 여행상품의 표준안 이행률이 97.3%로 가장 높은 반면, 미주 여행상품은 93.7%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 향후 미주 여행상품의 정보제공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에어텔 상품 확대 등 정보제공 표준안 사업 확대 필요정보제공 표준안 이행실적이 1단계(패키지상품)에서 우수한 결과로 나타났으나, 국외여행상품은 항공, 숙박, 음식, 쇼핑 등의 서비스가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소비자 피해 예방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중요하다. 따라서 국외여행상품의 현지 서비스 운영 실태조사 등을 통해 정보제공 수준을 한층 더 강화하는 것과 함께, 최근 증가하고 있는 변형 여행상품(예 : 에어텔 등)에 대해서도 정보제공 표준안 사업을 확대(2단계)할 필요가 있다. 한국소비자원과 한국관광공사 및 한국여행업협회는 국외여행상품에 대한 소비자 권익을 향상시키는 것이 정보제공 표준안 사업의 궁극적 취지라는 전제 아래, 이후에도 국외여행상품 정보제공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공동사업을 한층 더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첨부 #1 | 171220_국외여행상품+정보제공+실태조사+결과_보도자료.pdf (449 KBytes) 바로보기 |
No. | 제목 | 첨부 | 작성자 | 작성일 | |
---|---|---|---|---|---|
1997 | 2017년 12월 생필품 가격동향 분석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8-01-15 | 1224 |
1996 | 기저귀교환대, 안전사고 위험 높고 위생상태 불량..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8-01-12 | 1245 |
1995 | 한국소비자원, 「해외 항공·호텔 예약 가이드」배포..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8-01-10 | 1230 |
1994 | 테스터 화장품, 위생 관리 강화 필요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8-01-10 | 1206 |
1993 | 벌꿀 제품, 품질관리 강화 필요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7-12-29 | 1278 |
1992 | 조영제 부작용 예방책 마련 필요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7-12-29 | 1215 |
1991 | 피젯스피너, 어린이 안전사고 주의해야..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7-12-22 | 1202 |
1990 | 고령자 안전사고, 일상생활에서 예방이 중요..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7-12-22 | 1199 |
국외여행상품의 정보제공 개선으로 소비자권익 향상 ..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7-12-22 | 1176 | |
1988 | 시중 유통 한식된장·청국장, 곰팡이 독소 안전기준에 ..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7-12-20 | 1207 |
1987 | 편의점 햄버거, 제품별 내용물에 따라 영양성분 함량 ..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7-12-20 | 1177 |
1986 | 2017년 11월 소비자상담 동향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7-12-15 | 1291 |
1985 | 일부 패션팔찌에서 납과 카드뮴 다량 검출..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7-12-15 | 1252 |
1984 | 나노 식품 및 화장품, 안전 관리·감독 강화 필요..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7-12-13 | 1201 |
1983 | 2017년 11월 생필품 가격동향 분석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7-12-11 | 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