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공유숙박 플랫폼 계약 취소시, 위약금 주의 | ||||||||||||||
---|---|---|---|---|---|---|---|---|---|---|---|---|---|---|---|
작성일 | 2018-02-05 17:35:41 | 조회 | 1,500 회 | ||||||||||||
작성자 | 경제일자리정책과 | ||||||||||||||
[출처: 한국소비자원] 공유숙박 플랫폼 계약 취소시, 위약금 주의- 예약 전 환급 규정을 꼼꼼히 살펴야 - 소비자들이 저렴한 비용으로 문화적 체험을 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 공유숙박*서비스가 빠르게 확산되면서 이에 따른 소비자 불만도 늘어나고 있어 소비자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 ‘공유숙박’은 일반인이 빈방, 빈집 등의 여유 공간을 활용해 여행객에게 숙박서비스를 유상제공하는 것으로, 공유숙박 플랫폼에 등록된 숙소제공자의 숙박시설을 소비자가 예약하는 방식으로 운영됨. 한국소비자원이 최근 4년간(2014~2017)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공유숙박 플랫폼 관련 소비자 불만 상담을 분석한 결과 총 194건이 접수되었다. 특히, 지난 해 소비자 불만 상담 건수는 108건으로 2016년 36건에 비해 3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공정거래위원회가 운영하는 전국 단위 소비자상담 통합 콜센터(국번없이 1372)로 소비자단체·한국소비자원·광역지자체가 참여하여 상담을 수행 계약 취소에 따른 위약금 불만이 137건(70.6%)으로 가장 많았고, 이용 불가한 숙소 예약 등 불완전 계약이행 34건(17.5%), 서비스 불만, 시설·위생상태 불량 12건(6.2%) 순이었다. [ 유형별 현황 ] [단위 : 건, (%)]
* 분실, 도난, 안전 등 공유숙박 주소지 확인이 가능한 194건을 분석한 결과, 국외가 130건(67.0%)으로 국내 64건(33.0%)보다 많았다. 공유숙박 주소지가 국외인 130건 중 일본(56건, 43.1%)이 가장 많았고, 미국(21건, 16.2%), 독일(7건, 5.4%), 프랑스(6건, 4.6%)순으로 나타났으며, 국내 64건은 제주(23건, 35.9%), 부산(10건, 15.6%), 서울(8건, 12.5%)순으로 확인되었다. 공유숙박 플랫폼 업체의 환급 정책을 살펴보면, 일반, 엄격 등으로 구분되고 취소 시 숙박예정일로부터 남은 시점에 따라 위약금으로 숙박료 전액, 숙박비의 50%를 부과하는 경우가 있어 계약 전 환급 정책과 규정을 꼼꼼히 확인할 필요가 있다. 특히, 공유숙박 플랫폼 서비스수수료*의 경우 결제 후 일정 기간 내 취소할 경우 환급되지만, 일정 횟수를 초과하여 취소하거나 중복 예약 후 취소할 경우 환급되지 않았다. 일부 공유숙박 플랫폼 업체는 환급 규정과 관계없이 서비스수수료 환급이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 공유숙박 플랫폼 중개업체가 숙소 검색, 숙박 중개, 숙박대금 결제 및 환급 등을 대행해주는 서비스의 대가 한국소비자원은 국내·외 관광지로 여행을 계획하는 소비자들이 공유숙박 플랫폼을 이용하여 숙소를 예약할 때 ▲숙박 예정일자, 장소 등을 정확히 확인할 것 ▲공유숙박 플랫폼과 숙박업소의 환급 정책과 규정을 꼼꼼히 확인한 후 예약할 것 ▲예약 취소 시 취소 시점을 증빙할 수 있는 이메일, 문자메시지를 보관할 것을 당부했다.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피해발생 문의처
|
|||||||||||||||
첨부 #1 | 180201_공유숙박+플랫폼+계약+취소시_보도자료.pdf (382 KBytes) 바로보기 |
No. | 제목 | 첨부 | 작성자 | 작성일 | |
---|---|---|---|---|---|
1977 | 옥상 외식시설(루프탑), 난간 낮아 안전사고 위험..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7-12-01 | 1764 |
1976 | 사례로 배우는 상조서비스 피해 예방 요령..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7-11-29 | 1233 |
1975 | ‘쇼핑카트 안전사고 예방 캠페인’ 시행..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7-11-29 | 1232 |
1974 | 기업형 슈퍼마켓 서비스 만족도, ‘매장이용 편리성’..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7-11-27 | 1191 |
1973 | 수능 마친 예비 사회초년생을 위한 맞춤형 소비자교육.. | 2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7-11-24 | 1203 |
1972 | 수입쇠고기 구매이유는 ‘합리적인 가격’.. | 2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7-11-24 | 1223 |
1971 | 고속도로 졸음쉼터 진·출입로 짧고 안전사고 위험 높..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7-11-24 | 1212 |
1970 | 의료기기 오인 우려‘건강·미용’관련 온라인광고 빈..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7-11-22 | 1168 |
1969 | 취업정보 서비스 만족도, ‘채용정보 유용성’높고, ..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7-11-20 | 1169 |
1968 | 블랙프라이데이 사기의심, 미배송 등 피해시 신용카드.. | 2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7-11-17 | 1309 |
1967 | 인형 전동 이동수단, 품질 관련 소비자피해 급증..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7-11-17 | 1260 |
1966 | 2017 소비생활지표 조사결과, 국민 소비생활만족 크게..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7-11-15 | 1250 |
1965 | 고령소비자 의약품 선택권 강화를 위한 정책 대안 마.. | 1 | 경제일자리정책과 | 2017-11-13 | 1249 |
1964 | 김치냉장고, 김치 저장온도성능, 월간소비전력량 등 .. | 1 | 관리자 | 2017-11-10 | 1427 |
1963 | 노후아파트, 전기안전 취약하고 화재 위험 높아.. | 1 | 관리자 | 2017-11-10 | 145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