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위치
한라산 정상에서 동쪽으로 약 5km 지점에는 우리 제주섬을 남북으로 나뉘어지고 있는 성판악 오름이 있다. 그 곳에서 남쪽으로 곧게 뻗은 맥을 따라 5km 정도 내려오면 우리 마을 목장위에 위치해있는 수악봉에 이루게 된다.
그 수악봉에서 다시 3km 쯤 내려오게 되면 닿는 곳이 녹곤수 동산,여기가 우리 마을의 동북에 위치한 지점이다. 그 동산 위에 서서 서맘쪽으로 바라보게 되면 그나마 평야다 싶은 넓은 들이 보인다. 이곳이 180여 가구가 도란도란 거짓없이 살아가는 서귀포시 남원읍 하례2리 우리마을이다.
북쪽은 한라산 줄기 두서악에서 서쪽은 영천오름, 남서쪽 칠오름, 두악의 기슭을 흐르는 효돈천 상류에서 서귀포시내와 남원읍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 중산간의 마을임
- 중산간 지역을 연결하는 중산간도로(국도16호선)와 제주시와 서귀포시내의 교통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5.16도로가 마을 서측을 지나고 있으며, 서귀포시내버스의 종착점이라 교통이 편리함.
일반현황
면 적 |
계(ha) |
전 |
과수원 |
임야 |
대지 |
기타 |
2.281.6 |
20 |
330 |
1823 |
8 |
100 |
가 구 |
계(가구) |
농가 |
어가 |
기타 |
비고 |
230 |
71 |
|
|
|
인 구 |
계(명) |
남 |
여 |
세대수 |
590 |
309 |
281 |
250 |
마을재산 |
마을회관 |
경로당 |
창고 |
목장 |
공동묘지 |
기타 |
비고 |
1 |
1 |
1 |
1 |
|
|
|
주요시설 |
학교 |
은행 |
의료시설 |
공공기관 |
기타 |
비고 |
1 |
1 |
|
3 |
|
|
자생조직 |
노인회 |
원로회 |
부녀회 |
청년회 |
영농회 |
작목반 |
기타 |
1 |
|
1 |
1 |
2 |
3 |
1 |
자연환경
- 중산간 지역이며 마을 구성원이 남원읍 인구의 3.3%밖에 되지 않아 교육·문화시설, 주요시설이 없어 인근 서귀포시 지역의 각종 시설을 이용함으로써 서귀포시 생활권에 가까움
- 기후가 온화하여 계절에 관계없이 동식물의 활동에 적절한 기온을 유지하고 있어 감귤, 원예 작물재배에 최적지인 만큼 제주감귤연구소가 '94.7.8일에 부지 35,903평에 유치되어 고품질의 감귤 품종개발에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산업구조
- 기후가 온대성이라 계절에 관계없이 감귤, 원예 작물재배의 최적지며 오래전부터 감귤육성이 정부시책 사업으로 이루어질만큼 감귤산업이 발전하였으며 특히 제주감귤연구소가 이곳에 설립('94.7.8)되어 감귤수입개방에 따른 고품질의 감귤을 생산 감귤경쟁력 강화에 노력하고 있음.
- 중산간 지역이며 마을 구성원이 남원읍 인구의 3.3%밖에 되지 않아 교육·문화시설, 주요시설이 없어 인근 서귀포시 지역의 각종 시설을 이용함으로써 서귀포시 생활권에 가까움